12일부터 2000만원 이하 연체기록 삭제
제2금융권, 신용평가 대안 모델 찾기 분주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소액 연체자의 연체 기록을 없애주는 ‘신용 사면’이 오는 12일로 예정된 가운데 제2금융권이 고민에 빠졌다.
신용 사면을 받은 사람들이 신규 대출이나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때 평가 기준이 모호해 금융사의 위험도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12일부터 2000만 원 이하의 연체가 발생한 약 298만 명에 달하는 개인 대출자의 연체 기록을 삭제하는 ‘신용 사면’이 추진된다.
이는 5월 말까지 기존 연체 금액을 전액 상환하는 사람이 대상이 된다. 이들의 연체 이력은 신용 평가에서 빠지며 신용 평점이 올라 신용카드 발급이나 신규 대출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기존 대출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사람이 경제 상황이 개선되지 않았음에도 돈을 마련해 기존 연체금을 갚아 이력이 지워질 경우, 신규 대출을 받더라도 금융사가 이를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또 연체 이력은 제2금융권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최근 제2금융권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 국내 79곳 저축은행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연체율은 6%이고 최근 더 오른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300만~500만원의 소액 신용대출을 10억 원 이상 보유한 저축은행 37개사의 지난해 3분기 연체율은 11.62%, 새마을금고 연체율도 지난해 7%를 넘어 소액 신용대출 연체율은 더 높아졌다.
이에 제2금융권의 한 대형 금융사는 최근 새로운 신용평가 모델 개발에 나섰으며 다수 금융사들이 나이스평가정보와 함께 대안 신용평가 모델을 개발한 네이버페이 도입을 논의하는 등 대안 마련에 분주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제2금융권에서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신용평가 모델을 고도화하거나 대안 평가 모델을 갖고 있는 업체와 협업하자는 의견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며 “신용 사면이 실시되면 금융권은 서둘러 대안 평가 모델을 마련하거나 아얘 대출의 문을 높이는 업체들이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