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성 의문 해소, 럭셔리카 판매 급감

고가 법인차 전용 연두색 번호판. 사진=연합뉴스
고가 법인차 전용 연두색 번호판.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올해 1월부터 도입된 8000만원 이상의 법인차에 연두색 번호판을 달게 하는 제도의 실제 효과가 확인됐다. 지난달 고가 차량의 법인구매 비중은 집계를 시작한 후 최초로 30% 아래로 떨어졌다. 

15일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달 취득가액 8000만원 이상의 수입 법인차 등록 대수는 3868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집계된 5636대보다 1768대(31.4%p) 감소했다.

이같은 감소세는 올해 1월부터 8000만원 이상 법인 승용차에 연두색 번호판을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한 제도가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해 고가의 수입차를 법인차로 구매하던 사람들이 줄어든 이유가 ‘연두색 번호판’이라는 해석이다.

고가의 법인차 등록 대수가 줄면서 전체 수입차 판매 건 중 법인차의 비중도 30% 아래를 기록했다.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지난해 같은 달(2만3840대)보다 6.0% 증가한 2만5263대로 집계된 가운데, 법인차 등록 비중은 28.4%(7179대)로 집계됐다. 

법인차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모든 차량 가격이 연두색 번호판 부착 대상인 8000만원 이상에 해당하는 럭셔리카 브랜드 판매량도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1분기 벤틀리의 등록 대수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77.4% 감소한 38대였다. 롤스로이스(35대)와 포르쉐(2286대)도 각각 35.2%, 22.9% 줄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도입 초반에는 실효성이 과연 있을지 의문이 들었지만 실제 고가 법인차 판매량이 낮아지며 효과를 입증했다”며 “최근에는 연두색 번호판을 피하기 위해 취득가를 거짓으로 낮춰 신고하는‘ 꼼수 법인차’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