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국내 조선업계에 협력 요청… 향후 MRO사업 탄력 가능성
'삼중고' 직면 철강업계, 보호무역·관세 부과 예고로 노심초사

HD한국조선해양 자회사 HD현대삼호종공업이 건조를 맡아 올해 인도한 17만4000입방미터(㎥)급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이 시운전 중이다. 사진=HD한국조선해양 제공
HD한국조선해양 자회사 HD현대삼호종공업이 건조를 맡아 올해 인도한 17만4000입방미터(㎥)급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이 시운전 중이다. 사진=HD한국조선해양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백악관 재입성 소식에 한국 조선·철강업계의 희비가 갈렸다.

조선업계의 경우 미국 해군 등등과의 협력 강화 가능성을 기대하는 반면 철강업계는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관세 폭탄을 우려하고 있다. 

9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과 관련 국내에서 가장 수혜가 기대되는 업종은 단연 조선업이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자국 조선업에 대한 한국의 도움과 협력을 요청한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국내 조선사들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동시에 미국 함정 유지·보수·정비(MRO)사업이 탄력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과 첫 통화에서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지닌 기술 경쟁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MRO분야에 있어 한국과 긴밀한 협력 필요성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또한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과정에서 내세운 공약도 조선업계의 기대감을 키운다. 트럼프 당선인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추진한 친환경 정책을 폐기하고 석유, 가스 등 전통 에너지산업을 육성하겠다고 공언했다. 

공약이 현실화하면 셰일가스를 비롯한 석유 생산이 다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자연스럽게 국내 조선기업들의 텃밭으로 여겨지는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시장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조선업 호황기와 맞물려 선박 수주 규모가 향후 지속 증대될 수 있는 요인이다. 환율 역시 미 대선 이후 상승세를 나타내는 등 조선업계 입장에서는 우호적 환경이 조성됐다. 

철강업계는 최근 미 대선 결과 이후 변화될 무역정책을 예의 주시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해외 철강재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사진=현대제철 제공
철강업계는 최근 미 대선 결과 이후 변화될 무역정책을 예의 주시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해외 철강재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사진=현대제철 제공

반면 철강업계는 미 대선 결과로 인해 사업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으로 평가한다. 경기침체와 전방산업인 건설업 부진, 중국의 저가 공세 등 삼중고에 직면한 국내 철강사들은 향후 대미 정책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부과 가능성이다. 트럼프 행정부 1기에서는 2018년 수입 철강재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 전례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관세 대신 쿼터 부과 대상국으로 분류돼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의 70%에 해당하는 263만톤의 철강만 미국에 수출 가능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는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목표로 대중 견제에 초점을 맞춘 무역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철강사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최악의 시나리오는 관세 부과로 이 경우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