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기준금리 0.25%포인트 낮춰…3연속 인하
향후 금리인하 속도조절 시사에 강달러 가능성↑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고, 내년 추가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고심하던 한은 입장에선 연준의 속도 조절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을 걱정할 수밖에 없다.  사진=연준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고, 내년 추가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고심하던 한은 입장에선 연준의 속도 조절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을 걱정할 수밖에 없다.  사진=연준

[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며, 내년 추가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해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졌다.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고심하던 한은 입장에선 연준의 속도 조절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을 걱정할 수밖에 없다. 

18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연 4.50∼4.75%에서 연 4.25∼4.50%로 0.25%포인트 낮췄다. 이는 9월(0.5%포인트)과 11월(0.25%포인트)에 이어 3연속 금리 인하 조정이다.

연준은 성명에서 “올해 초부터 노동 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됐고 실업률은 상승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인플레이션은 위원회의 목표치인 2%를 보였지만 아직은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회의 결과에서 더 주목된 부분은 금리 인하보다 크게 바뀐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다.

새 점도표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내년 말 기준금리 전망치로 3.9%를 제시했다. 기존 9월 전망치(3.4%)보다 0.5%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현재 금리 수준(4.25∼4.50%)을 고려하면 내년에 당초 예상한 네 번이 아니라 두 번 정도만 더 내리겠다는 뜻이다. 2026년 말 기준금리 예상 수준도 2.9%에서 3.4%로, 2027년 말은 2.9%에서 3.1%로 상향했다.

연준은 미국 경기와 고용 흐름이 탄탄하고 인플레이션 등의 가능성도 있는 만큼, 빠르게 기준금리를 낮출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오늘 발표한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금리 추가조정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보냈다”라고 말했다.

연준의 이번 금리인하로 한국(3.00%)과 미국의 금리 차이는 1.75%포인트에서 1.50%포인트로 줄었다.

한은은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서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 상승 압박에서 조금 여유가 생겼다. 다만 연준이 향후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한 점은 골칫거리다. 

미국의 금리가 시장의 기대만큼 빠르게 내리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중장기적으로 달러 가치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원/달러 환율이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한은이 기준금리까지 빠르게 낮추면, 원화 가치 하락과 함께 환율이 더 뛸 가능성이 커진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세계 주요 통화들이 대폭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우리 금융·외환시장도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한 방향으로의 지나친 쏠림 현상은 향후 반대 방향으로 큰 폭의 반작용을 수반할 수 있으니 시장 참가자들의 차분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정부와 한은은 높은 경계의식을 가지고 24시간 금융·외환시장 점검 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변동성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장안정조치를 과감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도 이날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FOMC 결과로 연준의 통화정책 완화가 상당히 지연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 부총재는 “최근 국내 금융·외환시장은 비상계엄 이후 일시 확대됐던 변동성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정치 상황과 결합되면서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신속하게 시장안정화 조치를 실시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