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판매량, 11만5900대→9만1385대 21.2% 감소
HEV는 24.9% 증가한 35만6058대 판매

현대차 아이오닉5.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차 아이오닉5.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지난해 국내 완성차 5사의 친환경차 판매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HEV)는 늘고 순수전기차(EV)는 줄어들었다. 

친환경차의 높은 인기와 탈탄소 규제에 경유차는 역대 가장 적은 판매를 기록하며 점유율이 처음으로 10% 아래로 떨어졌다.

5일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KGM) 등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실적을 취합한 결과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총 45만194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에는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수소전기차(FCEV)가 포함된다.

지난해 40만5331대 대비 11.1% 증가한 수치로, 역대 가장 많은 판매량이다. 

이중 하이브리드차가 전년 대비 24.9% 증가한 35만6058대가 팔리며 판매량을 견인했다. 역시 사상 가장 많은 판매량으로, 전체 친환경차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8%에 달했다.

전기차 판매는 2023년 11만5900대에서 지난해 9만1385대로 21.2% 줄며 연간 10만대선이 무너졌다. 수소전기차도 4328대에서 2751대로 36.4% 급감했다.

국내 내수 판매의 90%를 차지하는 현대차·기아도 처음으로 친환경차 판매 40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차·기아의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는 42만3059대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18.2% 늘어난 33만5105대가 팔리며 처음으로 30만대를 넘었다. 전기차는 8만5203대로 23.9% 줄었고, 수소차는 2751대로 36.4% 감소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판매량이 빠진만큼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으로 늘어 전기차 구매층이 충전의 불편함 등 여러 이유로 하이브리드로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