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판매량, 11만5900대→9만1385대 21.2% 감소
HEV는 24.9% 증가한 35만6058대 판매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지난해 국내 완성차 5사의 친환경차 판매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HEV)는 늘고 순수전기차(EV)는 줄어들었다.
친환경차의 높은 인기와 탈탄소 규제에 경유차는 역대 가장 적은 판매를 기록하며 점유율이 처음으로 10% 아래로 떨어졌다.
5일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KGM) 등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실적을 취합한 결과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총 45만194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에는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수소전기차(FCEV)가 포함된다.
지난해 40만5331대 대비 11.1% 증가한 수치로, 역대 가장 많은 판매량이다.
이중 하이브리드차가 전년 대비 24.9% 증가한 35만6058대가 팔리며 판매량을 견인했다. 역시 사상 가장 많은 판매량으로, 전체 친환경차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8%에 달했다.
전기차 판매는 2023년 11만5900대에서 지난해 9만1385대로 21.2% 줄며 연간 10만대선이 무너졌다. 수소전기차도 4328대에서 2751대로 36.4% 급감했다.
국내 내수 판매의 90%를 차지하는 현대차·기아도 처음으로 친환경차 판매 40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차·기아의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는 42만3059대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18.2% 늘어난 33만5105대가 팔리며 처음으로 30만대를 넘었다. 전기차는 8만5203대로 23.9% 줄었고, 수소차는 2751대로 36.4% 감소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판매량이 빠진만큼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으로 늘어 전기차 구매층이 충전의 불편함 등 여러 이유로 하이브리드로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수원시, ‘2024년 행안부 주관 지방규제혁신 성과평가’2년 연속 우수 지자체 선정
- 테슬라도 캐즘에 발목, 주가 조정 심상찮다...올해 실적악화 지속되나
- 롯데케미칼, 유동성 위기 속 원가율 급등…배보다 배꼽이 더 컸다
- OPEC+ 8개국, 하루 220만배럴 자발적 감산 올해 1분기에도 지속
- [위기를 기회로②] 트럼프 리스크 현실화...한국에 어떤 영향?
- 현대차그룹, 지난해 미국 판매량 역대 최대 170만대 …‘톱4’
- KGM, 튀르키예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브랜드상’ 수상 쾌거
- KGM, 2025년 렉스턴 라인업 출시…옵션 강화하고 가격은 유지
- KGM, ‘설 특별 차량점검 서비스' 시행
- KGM, 픽업 통합 브랜드 ‘무쏘’ 공식 출범…첫 모델은 전기차
- 현대차 아이오닉 시리즈, 카트라이더에서 달린다
- 르노코리아, 설 맞아 풍성한 새해 선물 증정
-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혼류 생산라인 구축 완료
- 르노코리아, KIAPI와 자율주행·ADAS 공동개발 2차 업무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