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은행들이 가까운 영업점 문을 닫고 인근 지점과 통합하는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서자 시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소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말하며 고객편의를 무시한 처사란 비난도 나온다.
지난해 말 발표된 금융권 조사자료에서 국내 은행 점포수는 코로나 팬데믹 초반인 2020년말 6405개에서 2023년말 5747개로 줄었다. 이런 흐름은 올해 들어서도 계속돼 최근 한 달 사이 100여곳에 가까운 영업점이 통폐합됐다.
은행들은 점포 축소 이유로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영업점 이용이 줄어들어, 수익성과 효율성을 감안하면 인접한 점포를 통폐합한 대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실제 은행 업무처리 비중을 살펴보면 2018년 창구와 ATM을 통한 업무처리가 39.0%, 인터넷뱅킹이 53.2%였으나 온라인 이용자들이 꾸준히 증가하며 2023년에는 창구·ATM 16.6%, 인터넷뱅킹 81.7%로 수치상 큰 변화를 보였다.
온라인 업무처리가 늘면서 도보 생활권 등 좁은 반경에 있는 지점들을 통합해 점포 규모를 키워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그들의 설명이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실생활에서 현금보다 카드사용 빈도가 계속해서 늘고있고, 카카오·토스·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이용이 활발해졌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점포 축소에 대해 부정적으로만 볼 건 아니란 거다.
그렇다고 고령자, 지방 군소 지역민 등 디지털취약계층이 감수해야 할 불편까지 모른척 해서는 안 된다. 소비자들의 금융서비스 접근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금융산업이 당연히 수행해야 할 책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은행들은 여러 이유로 물리적 점포 방문을 선호하고 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의 수요가 여전히 유의미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누군가의 불편함까지 생각하고 행동하는 건 세심함이자 배려다. 이후 은행 점포의 통폐합 의사결정에 있어 보다 신중한 정책적 접근과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대안을 함께 고민 해주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