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지난해 연말 터진 비상계엄 사태 이후 외국인들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하며, 증시 체력은 약해질 대로 약해졌다. 코스피는 결국 2400선 아래로 주저앉은 채 새해를 맞았다. 새해 들어서도 국내 증시는 답답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코스피 상승을 견인할 구체적인 호재가 부재한 가운데 오는 8일 예정된 삼성전자 4분기 잠정실적 발표가 증시를 또 한번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부진하게 나올 경우 기업 실적 전반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치적 혼란도 여전히 지속되며, 주식시장에서 국내·외 투자자들은 서둘러 발을 빼고 있다.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는 이 같은 상황 속 올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에 밸류업 정책이 격랑 속에 빠진 한국 증시를 구원할 열쇠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당장 정부의 밸류업 추진 의지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탄핵 정국 장기화 등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로 밸류업 정책에 대한 우려가 높았지만, 일단 동력 상실에 대한 가능성은 일축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지난 2일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주주환원 촉진 세제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세제지원 강화를 비롯한 ‘밸류업 촉진 세제지원 패키지’를 포함하는 등 투자자들부터 붙잡아 둘 수 있는 증시 환경 개선에 방점을 찍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지난해에 이어 밸류업의 큰 그림이 완성된 만큼 이제는 세밀한 정책 시행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복합적인 악재가 경제를 짓누는 가운데 국내 증시는 다시 한번 중요한 기로에 섰다. 무엇보다 현시점에선 양보다는 질이 우선시되는 정책을 통해 무늬만 밸류업이 아닌 진정한 자본시장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할 때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결책으로 많은 기대를 받았던 밸류업 프로그램이 올해는 제 기능을 발휘해 국내 증시에서 식어가는 투자심리 회복에 구심점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