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 코스피는 정치적 불확실성 가중 등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연말 랠리에 대한 기대감은 사라진지 오래고 지수는 2400선 붕괴에 이어 2300선 지탱도 위태로운 모습이다. 앞서 얘기치 못한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의 파장은 투자자들의 국장 이탈을 부추겼다.
비상계엄 선포는 금융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줬다. 계엄령 선포는 6시간 만에 해제됐지만, 여파는 지속되고 있다. 탄핵 정국 돌입 속 대통령의 거취 문제가 불명확해지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산되면서다.
국내 시장에 투자매력도 역시 급격히 떨어졌다. 외국인과 개인이 국내 주식시장을 떠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중요 국정과제로 내세웠던 ‘밸류업’도 좌초 위기를 맞았다.
밸류업 정책은 향후 증시에 기초체력을 튼튼하게 하고 코리아 디스카운드 해소에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받았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향후 동력 상실은 불가피해졌다.
가장 큰 문제는 계엄 사태 이후 투자자들이 바라보는 국내 증시에 대한 시선이 낙관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탄핵 정국이 단기간 내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당장 금융당국이 불확실성 줄이기를 위한 총력전에 나섰지만, 시장 혼란은 잦아들기는 커녕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의 패닉셀(공포 매도)로 이어지며 증시의 추가 하락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국내 정치적 상황과 관련 대외 신인도 하락도 예상되고 있다. 이는 대통령의 이기적인 정치적 도박이 초래한 결과다. 투자자들은 이로 인한 피해를 입게 됐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 조차 “윤석열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옳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계엄령 시도의 대가는 대한민국 5100만 국민이 시간을 걸쳐 할부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혹평했다.
투자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불확실성이다. 본인 거취 문제를 여당에게 일임하겠다는 어정쩡한 말로는 지금의 혼란한 상황을 해소하기는 힘들다. 탄핵 정국 조기 해소 등을 위한 대통령의 책임있는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