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트렌드 변화의 중심에는 Z세대와 밀레니엄세대가 있다. 특히 모바일 상거래 활성화로 쇼루밍에서 역쇼루밍으로 진화하고 있다.

Z세대는 1995년 이후에 태어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이미지로 소통하는 1~20세의 젊은층을 뜻한다. Z세대는 TV를 보면서 쉴새 없이 카카오톡을 하고 셀카로 촬영핚 자싞의 얼굴에 고양이 스티커를 붙이며 순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세대로 알려져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81~96년생들로 스마트폰 및 인터넷 인플루언서 층으로 디지털에 친숙하고 다양한 컨텐츠를 경험했다. 소비지향적이고 몰입과 의미를 중시한다. 글로벌 마인드로 긍정적/수용적 태도가 특징이다.

■모바일커머스, 소비트렌드 변화의 중심

11일 메리츠종금증권에 따르면, 2015년 미국 소매시장 내 온라인 채널의 비중은 10.5%. 거래금액은 3,400억달러 규모(2000년도 1.7%)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E-커머스(Commerce) 패턴의 특징을 보면, 커머스 자체가 브랜드가 되는 경우 많아지고있다. 새로운 소비패턴이 트렌드가 되고, 거래금액이 커지면 빅데이터를 구축, 브랜드가 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아마존의 PB 상품들(가구, 읶테리어, 젂자기기, 패션 등)을 들수 있다.

상품, 브랚드, 리테일의 결합되는 이른바 하이브리드 패턴(Hybrid pattern)도 눈길을 끌고 있다. 대표적읶 예가 캐스퍼(Casper), Warby Parker, Thrive Market 등이 거론된다.

 
 
 
■국내 모바일커머스 성장

2016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61조원, 모바일쇼핑액은 31.3조원으로 모바일 비중이 51.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1년~2016년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의 CAGR은 22%, 2001년 대비 16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모바일쇼핑의 장점은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절대적인 이용시간이 PC보다 많으며 △주문/결제가 편리하다는 점을 꼽는다.

네이버쇼핑의 경우 2015년 6월 네이버페이를 출시하며 온라인/모바일 쇼핑 플랫폼으로 본격 성장하고 있다. 2015년 모바일쇼핑 1위 사업자였던 쿠팡의 연간 거래액이 3조원이었음을 감앆하면 2016년을 기점으로 네이버쇼핑은 모바일 1위 쇼핑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네이버쇼핑의 광고매출액은 6천억원으로 예상되고 OPM 10%로 수익기여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서울와이어 김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