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대-최고 통합보안 전시회
오는 19~21일, 사흘간 일산 킨텍스서
총 15개국 410개 기업·기관 참여

세계 보안 엑스포·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 2025 로고. 사진=SECON&eGISEC 조직위원회
세계 보안 엑스포·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 2025 로고. 사진=SECON&eGISEC 조직위원회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제24회 세계보안엑스포(SECON 2025) & 제13회 전자정부 솔루션 페어(eGISEC 2025)’가 오는 19~21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막된다.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 주최로 열리는 이번 통합보안전시회는 15개국 410개 기업·기관이 참가해 첨단 보안솔루션을 소개하는 등 각종 정보보호 신기술을 선보일 전망이다. 

SECON과 eGISEC은 2001년 1회 대회부터 전 세계 최초로 물리보안과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함께 선보인 통합보안 전시회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영상보안, 출입통제, 생체인식 등 물리보안 솔루션과 네트워크 보안, 엔드포인트 보안 등 사이버보안 솔루션은 물론, 산업보안, 스마트시티 보안, OT 보안, 자동차·선박 보안, 드론 등의 융복합 보안 솔루션을 총망라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적용됨에 따라 AI를 활용한 스마트 통합관제 등 AI 기반 보안 시스템이 중점적으로 전시될 예정이다.

개막식에는 SECON & eGISEC 조직위원회 이기주 조직위원장과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 신용석 대통령실 사이버안보비서관,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을 비롯해 주최 및 주관기관 대표, 관련 협단체장. 해외 델리게이션 등이 참석했다.

첫날에는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디지털 행정서비스 장애 진단·복구 세미나’가 진행된다. 이 콘퍼런스는 범정부 장애 대응 체계 및 장애진단·복구 관련 최신 기술 동향 등의 공유를 통해 중앙부처와 지자체·공공기관의 장애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이외에도 3일간 다양한 보안 관련 행사가 이어진다. 

올해는 전 세계 15개국에서 410여 곳에 달하는 국내외 대표 물리·사이버 보안기업들이 1785개 부스 규모로 참가해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전시회 기간에 조직위원회와 유관기관이 개최하는 콘퍼런스가 26개 트랙(116개 주제 발표) 규모로 진행된다. 

‘세계보안엑스포’와 함께 진행되는 ‘전자정부 정보보호 콘퍼런스 2025’는 행사 기간인 19~21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SECON & eGISEC의 가장 대표적인 콘퍼런스다. 이 콘퍼런스는 정부부처 및 지자체와 기관, 기업의 정보보호와 디지털 보안의 정책 추진 방향과 제도 개선 등 주요 사업, 최신 사이버 공격동향 및 대응 방안 그리고 보안이슈와 기술동향을 소개하며 전자정부 우수 구축사례 발표를 통해 정보보호 및 보안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SECON & eGISEC 2025의 전시 참관 및 콘퍼런스에 참여하면 공무원 상시학습, CPO 교육이수, CISSP, CISA, CPPG 등의 참가확인증도 하루 7시간까지 3일간 최대 21시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

SECON & eGISEC은 세계 최대 MICE 그룹인 인포마 그룹(Informa Group)과의 협업과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비즈니스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도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 ▲초청 바이어 매치메이킹 상담회 ▲해외진출 자문 상담회 ▲K-ICT 스타트업 공동 홍보관 ▲시큐리티 JOB 페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