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자가주사형 투여 옵션 확대⋯"시장 경쟁력 강화"

[서울와이어 정윤식 기자] 셀트리온은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옴리클로(개발명 CT-P39)‘ 오토인젝터(Autoinjector∙자동주사제, 이하 AI) 제형 추가에 대한 변경허가 ‘승인 권고’ 의견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옴리클로는 졸레어(성분명 오말리주맙)의 바이오시밀러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5월 유럽 최초로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품목허가를 받으며 ‘퍼스트무버(First Mover)’의 지위를 확보한 바 있다.
이번 승인권고는 당시 허가 받은 75㎎/150㎎ 프리필드시린지(Pre-filled Syringe∙사전충전형주사제, 이하 PFS) 제형에 이어, 75㎎/150㎎ AI 제형을 추가로 승인받기 위한 변경사항이다. 이는 환자들의 자가주사형 투여 옵션 확대 및 치료 편의성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셀트리온은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환자 6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T-P39의 글로벌 임상 3상을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유효성과 동등성을 입증하고 안전성에서도 유사성을 확인했다.
옴리클로의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는 알레르기성 천식,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 및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등에 사용되는 항체 바이오의약품으로, 지난해 기준 글로벌 매출 약 6조원을 기록했다. 최근에는 미국에서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에 대해 음식 알러지 적응증까지 추가로 승인받았다.
셀트리온은 기존 PFS 제형 대비 AI 제형이 자가 투여에 더 편리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운 환자군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자가 주사를 선호하는 환자군의 치료 만족도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옴리클로 AI 제형은 기존 허가받은 PFS 제형과 함께 환자의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 투여가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제형 다양화를 통해 치료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우수한 안정성 및 유효기간 확보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셀트리온, 항암제 '베그젤마' 美 판매 1년 만에 758억원 매출
- 서진석 셀트리온 대표 "올해 실적 성장 기대⋯기업 가치 높인다"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 美 코스트코서 판매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이탈리아 입찰 성과 확대
- 대웅제약, 골다공증 치료제 '스토보클로' 국내 공식 출시
- 셀트리온, 기업가치 제고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 셀트리온, 골질환 치료제 '스토보클로·오센벨트' 국내 판매 돌입
- 대한조선, 2년 만에 영업익 48배 상승한 지난해 '1582억'
- 효성벤처스, 올해 첫 투자 단행…AI·IT 등 포트폴리오 강화
- 셀트리온, 서울바이오허브와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협약
- [단독] 셀트리온, 네덜란드 졸레어 'EP 248' 특허 무효화 성공
- 셀트리온, 美 관세정책 발표 앞두고 '밸류업 실천 노력' 강화
-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원 추가 매입 결정
- [단독] 셀트리온, 황반변성 치료제 '아이덴젤트' 2개 제형 호주 허가 획득
- 셀트리온, 유플라이마 상호교환성 3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 美 3대 PBM 처방집 등재
- 셀트리온,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2종 호주 허가 획득
- 셀트리온,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 뉴질랜드 허가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