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인상에 장바구니 부담가중
빵·라면 등 서민 필수품 가격 올라

대형 마트 라면 코너에서 직원이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6개월간 식품 기업들이 가격 인상에 나서 가공식품 52개 품목 가격이 뛴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73개 품목 가운데 계엄사태 직전인 지난해 11월 대비 상승한 품목은 52개로 전체의 71.2%다. 여기서 5% 이상 오른 품목은 19개에 이른다.

가장 큰 폭으로 오른 품목은 오징어채로 31.9%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이어 초콜릿(10.4%), 커피(8.2%), 양념 소스·식초·젓갈(7%) 등이 가파르게 올랐다.

빵, 잼, 햄, 베이컨도 6%가량 상승했고 고추장과 생수도 비슷한 폭을 기록했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식용유(-8.9%), 두부(-4.1%), 국수(-4.1%), 밀가루(-2.2%) 등 17개 품목이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4.1%로, 계엄 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 1.3%의 세 배를 웃돌았다.

식품기업들의 줄인상은 탄핵 사태가 벌어진 후 연초부터 본격화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기업이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에 협조하는 차원에서 가격 인상을 자제해오다 국정 공백기에 제품 가격을 무더기로 올렸다”고 말했다.

대형 식품 기업인 대상은 설을 앞두고 드레싱 제품 가격을 평균 23% 올리고 후추는 19% 인상했다. hy(한국야쿠르트)도 지난달 야쿠르트 라이트 가격을 250원으로 14% 올렸다.

동서식품은 대선 나흘전 맥심 모카골드 가격을 올렸다. 6개월간 두 차례의 가격 인상으로인해 맥심 커피믹스 가격은 거의 20% 뛰었다. 롯데웰푸드는 과자와 아이스크림 수십개를 8개월 새 두 차례 인상했다.

오뚜기는 3개월 새 언론에 알려진 것만 해도 네 차례나 올랐다. 지난 4월 진라면을 10% 올리는 등 16개 라면 제품을 인상했으며 편의점 판매 3분 카레와 짜장 제품을 14% 올렸다.

앞서 지난 2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컵밥 덮밥 7종 가격을 600원씩 올리고 3월에는 대형마트 후추와 식초 가격을 인상했다.

식품 물가는 몇 년간 누적된 상승에 더해 최근 6개월간 식품기업의 가격 인상이 집중되면서 더욱 높아졌다. 지난 달까지 최근 6개월간 가격을 올린 식품·외식업체는 60곳이 넘는다.

식품업계의 줄인상에 소비자들은 장바구니 부담만 가중되는 형국이다. 특히 저소득층에 타격이 큰 필수 식품 가격 상승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연합뉴스에 “서민 가계의 밥상 물가 부담이 부쩍 커진 상황”이라며 “특히 빵, 라면 등 필수 식료품 가격이 오르며 저소득층의 부담이 크게 심화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