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밀양캠퍼스에서 밀양 제2공장 준공식이 진행됐다. 사진=삼양식품
삼양식품 밀양캠퍼스에서 밀양 제2공장 준공식이 진행됐다. 사진=삼양식품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삼양식품이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수출 전진기지’ 밀양 제2공장을 완공했다.

삼양식품은 11일 경남 밀양시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서 밀양 2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제2공장은 지난해 3월 착공해 약 15개월 만에 완공됐다. 연면적 3만40576㎡(약 1만평)에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구축됐다. 투입 비용은 1838억원이다.

생산제조 시설 중심으로 구성해 6개의 라면 생산라인(봉지 3라인, 용기 3라인)을 갖췄다. 이는 4개 라면 생산라인(봉지 2라인, 용기 1라인, 건면 1라인)과 병소스 1라인으로 구성된 밀양 제1공장보다 많다. 이에 따라 연간 최대 라면 생산량도 8억4000만개로 밀양 제1공장(7억4000만개)보다 많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준공식 기념사에서 “불닭이라는 별은 이제 막 타오르기 시작했다. 앞으로 더 뜨겁게 타오르고 더 밝게 빛날 것”이라며 “앞으로도 더 오래 타오르기 위한 준비와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밀양 제2공장 구축은 3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우선 글로벌 수출 대응력을 강화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미주시장과 유럽 등의 급증하는 수요, 새로운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해 전 세계 소비자들의 변화하는 식문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또 스마트 팩토리 허브 기지로서 역할한다. 밀양 제1공장보다 진화한 수준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도입해 품질 관리와 생산 효율의 완결을 실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밀양 제2공장을 생산 기술의 ‘마더 플랜트(Mother plant)’로 육성하고 원주, 익산 등 국내 기존 공장은 물론 향후 구축될 해외 생산거점에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산혁신 기술을 수평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산업 발전 기여 측면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신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지역 협력업체 및 공급망과의 연계 강화로 지역 내 산업 생태계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삼양식품은 예상하고 있다.

김정수 부회장은 “우리는 앞으로 매운 맛의 바이블이 돼야 한다”며 “현재 부드러운 매운맛의 까르보불닭이 가장 사랑받는 것처럼 매운맛에 대해 더욱 탐구하고 세분화해 범위를 넓혀 나가 매운맛 바이블의 면모를 보여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불닭 브랜드를 문화의 아이콘으로 만들겠다”며 “지금까지는 더 많이, 더 빨리, 더 맵게 먹는 컨텐츠가 지난 10년을 이끌어왔다면 앞으로는 더욱 유쾌하고 즐거운 컨텐츠를 만들어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이 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