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첫 고위직 낙마 가능성
차명 부동산·차명 대출 논란 휩싸여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13일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 8일 임명된 지 불과 나흘 만이다. 차명 대출과 부동산 차명 관리 등 잇따른 의혹이 제기되면서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오 수석은 전날 이재명 대통령에게 사의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대통령실은 아직 사의 수용 여부를 공식화하지 않았지만 수용될 경우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고위직 낙마 사례가 된다.
오 수석은 이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18기 동기로 검찰 내 대표적인 ‘특수통’ 출신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장, 대검 과학수사부장 등을 지냈으며, 대통령실은 그를 임명하며 “검찰개혁 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사”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임명 직후부터 연이어 의혹이 제기됐다. 2012~2015년 검사장 재직 당시 아내 명의의 토지와 건물을 지인 명의로 차명 관리한 정황이 드러났고 이는 재산 신고에서도 누락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에는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장 시절 친구 명의로 저축은행에서 15억원의 차명 대출을 받았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민정수석은 공직자 인사 검증과 공직 기강을 총괄하는 직책인 만큼 오 수석의 거취를 둘러싼 비판은 갈수록 거세졌다.
대통령실은 이와 관련 “일부 부적절한 처신이 있었다”는 인식이 있다는 데 공감했으나 오 수석의 사임 가능성은 부인해왔다. 앞서 오 수석도 차명 부동산 의혹에 대해 “송구하고 부끄럽다”는 입장을 밝히긴 했지만 즉각적인 사퇴 의사는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본인의 신상 문제로 논란이 지속되자 대통령실과 새 정부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사태로 대통령실 인사검증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야당은 “검찰개혁을 내세운 정부의 도덕성에 심각한 흠이 생겼다”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민정수석직을 비롯한 대통령실 인선 방향 재검토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