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최찬우 기자] 정치권과 홈플러스 노조가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합병(M&A) 시도를 '먹튀 행각' 으로 규정했다.
차입매수(LBO) 전략을 구사한 결과 홈플러스에 금융비용 부담이 전가됐고, 홈플러스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낮게 나오는 상황을 초래했다는 주장이다.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병덕 의원을 비롯해 이강일 민주당 의원, 정혜경 진보당 의원, 안수용 마트노조홈플러스지부장 등은 지난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MBK가 홈플러스를 청산하려는 먹튀행각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및 노동자 입점업체 생존권 보장을 위한 공동대책위는 “홈플러스를 벼랑 끝으로 내몬 책임이 MBK에 있는데도 어떠한 자구노력도 없고, 비용절감을위해 44개 점포를 폐점하겠다고 밝혔다”며 “홈플러스 파괴를 막기 위해 정부가 지금 당장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조사보고서 내용 가운데 계속기업가치가 2조5000억원인 반면 청산가치가 3조7000억원으로 더 높게 나온 점도 거론됐다. 대책위는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가청산가치보다 낮게 나온 건 MBK가 홈플러스를 LBO 방식으로 인수한 뒤 마금융비용 부담을 초래하고 유통사업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결과”라고 밝혔다.
MBK의 자구노력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대책위는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홈플러스 조사보고서를 보면 회생계획 성공에는 투자 유치 등 외부 자금 조달이나 M&A를 통한 외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내용이있다”며 “하지만 홈플러스 최대 주주인 MBK는 이 내용에서 투자 유치나 자구 노력을 통한 재정 건전화는 언급하지 않은 채, M&A만 내세웠다”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 등 범여권 의원 25명은 지난 10일 홈플러스 사태 해결 및 국회 청문회 개최 결의안을 발의했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사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관련자에 대한 법적·정책적 조치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민 의원 등은 결의안에서 "홈플러스 사태는 2015년 MBK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부터 예견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MBK는 인수 당시 1조원 투자 및 정상 경영을 약속했으나 지켜지지 않았고, 오히려 부동산 매각을 통한 자본 회수에 집중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