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홈플러스 경영과 롯데카드 해킹 사태를 둘러싼 MBK파트너스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다. 이에 따라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 필요성도 제기됐다.
5일 인사청문회에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홈플러스는 오는 11월 추가 매장 폐쇄를 예고한 상태”라며 “이 시점을 넘기면 사실상 MBK의 자금 회수 과정이 마무리되는 만큼 이달 내 청문회를 반드시 개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MBK가 롯데카드의 기업 경영에도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한 경영 판단이 단순한 투자 회수 수준을 넘어선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홈플러스 인수를 ‘먹튀’로 의심하는 목소리가 많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6월 민주당 민병덕 의원과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 등 25명의 여야 의원들이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 및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역시 청문회 개최 필요성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정무위 야당 간사인 강민국 의원은 “현재 여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민주당 간사인 강준현 의원과 협의해 청문회 개최 여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도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김용만 의원의 질의에 대해 “이번 사례는 외국계 사모펀드의 무책임한 경영이 소비자와 중소 협력업체에 어떤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공정위 차원에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MBK파트너스가 대주주로 있는 롯데카드는 지난달 일부 서버가 악성코드 감염 등 해킹 공격을 받은 사실을 확인하고 이달 초 금융감독원에 해당 사실을 보고했다. 현재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이 합동 현장조사를 진행 중이다.
- 정치권, '홈플러스 사태' 관련 MBK 대응 움직임… 청문회·규제법 발의
- 민병덕 의원 "MBK 청문회 필요"… 홈플러스 폐점 우려
- MBK, 차입 논란 일축… "홈플러스 인수 금융 2.7조 수준"
- 10만명 생계·고용 걸렸는데… "홈플러스 아파트 사듯?" 논란
- 정치권·노조 "홈플러스 청산하려는 MBK, 청문회 열어야"
- 국민의힘 "700조 투자해놓고 뒤통수… 이재명 정부 외교 참사"
- 민병덕 "MBK 홈플러스 폐점, 회생법원이 재검토해야"
- 유효기간 지난 기프티콘, 최대 100% 돌려받는다
- MBK "홈플러스 매각 전까지 추가 폐점 없다"… 민주당 압박 통했다
- 홈플러스 사태 이어 롯데카드 해킹까지… 김병주 회장, 청문회 나올까
- 297만명 정보 새나간 롯데카드… MBK '보안 약간 미비' 발언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