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사고, MBK 책임론 확산
정무위 국감 증인 신청에도 시선 집중
김 회장, 불출석 전례에 출석 여부 촉각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롯데카드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국회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실제 출석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김 회장은 지난 3월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 현안질의에도 불출석한 전례가 있어 이번에는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는 24일 열리는 KT·롯데카드 해킹 사고 청문회 증인으로 김 회장을 포함해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김영섭 KT 대표 등 6명을 확정했다.
참고인으로는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 이종현 SK텔레콤 통합보안센터장,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박상원 금융보안원장 등이 참석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김 회장의 출석 가능성을 두고 엇갈린 전망을 내놓는다. 지난 3월 국회 정무위 현안질의 당시 김 회장은 중국 출장 등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고 대신 김광일 MBK 부회장이 출석해 거센 비판을 받았다.
김 회장은 다음 달 국정감사에서도 주요 증인 후보로 꼽힌다. 정무위가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한 국감 증인 명단을 취합하는 과정에서 다수 의원실이 김 회장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는 현재 MBK와 홈플러스, 롯데카드 간 내부거래 의혹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병기 공정위원장은 이달 초 인사청문회에서 “외국계 사모펀드의 무책임한 경영이 소비자와 협력업체에 얼마나 피해를 줄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홈플러스에 이어 롯데카드 해킹까지 대형 사건이 연달아 터지면서 국회 안팎에서는 MBK 청문회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진다.
지난 6월에는 민주당 민병덕 의원,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 등 여야 의원 25명이 홈플러스 사태 진상규명과 청문회 개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간사도 “MBK 청문회 관련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 여야, MBK 청문회 공감대… 민주 "9월 개최해야"
- MBK "홈플러스 매각 전까지 추가 폐점 없다"… 민주당 압박 통했다
- 민병덕 "MBK 홈플러스 폐점, 회생법원이 재검토해야"
- 롯데카드 해킹 후폭풍 거세…보상 부실에 집단 소송ㆍ당국 고강도 제재 검토
- 국힘 "MBK 김병주, 해킹 책임 묻겠다"… 국감 소환 예고
- LG유플러스, '유독픽 AI' 구독 프로모션…매월 AI 2종 무료
- 297만명 정보 새나간 롯데카드… MBK '보안 약간 미비' 발언 논란
- LGU+, '엑사원 3.5' 온디바이스 sLM 개발 성공
- 롯데카드 “민감정보 유출 고객 79% 카드 재발급·비번 변경”
- 정부, 통신·금융사에 "보안 인력 늘리고 투자 확대하라" 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