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이어 보안 구멍 논란
김병주 회장 국감 증인 채택 추진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3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를 열고 롯데카드와 MBK파트너스, 금융위원회·금감원·개인정보보호위 관계자들을 불러 책임 추궁에 나섰다. 사진=연합뉴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3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를 열고 롯데카드와 MBK파트너스, 금융위원회·금감원·개인정보보호위 관계자들을 불러 책임 추궁에 나섰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국회가 롯데카드 해킹 사태를 둘러싸고 최대주주 MBK파트너스를 겨냥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김병주 MBK 회장을 10월 국정감사 증인으로 부르겠다고 공언하며, 책임 추궁을 예고하면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3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를 열고 롯데카드와 MBK파트너스, 금융위원회·금감원·개인정보보호위 관계자들을 불러 질타했다.

강민국 의원은 “홈플러스 사태 이후 또 사고가 났다. ‘또BK’라는 말까지 나온다”며 “김병주 회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할 예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상훈 의원은 “국내 8개 카드사 중 롯데카드가 정보보호 예산을 가장 많이 줄였다”며 “MBK가 매각 방침을 정해 투자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어 “국감 당일 동행명령장을 발부해서라도 김 회장을 출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책임론도 제기됐다. 금융보안원이 해킹 직전 롯데카드에 보안인증 최고등급을 부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불붙은 것이다. 

유영하 의원은 “이틀 만에 해커가 뚫고 들어왔다. 카드사는 믿을 수밖에 없지 않았겠느냐”며 “대국민 사과가 먼저”라고 지적했다. 윤한홍 정무위원장은 “정부가 이런 해킹 사고에 정말 책임이 없는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태 수습에 나선 롯데카드 측은 피해 규모와 대응 상황을 상세히 설명했다. 조좌진 대표는 “297만명 중 214만명은 암호화된 정보, 54만명은 대체번호가 유출돼 부정거래 위험이 없다”며 “실질적으로 위험에 노출된 28만명 중 18만4000명이 재발급이나 비밀번호 변경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온라인 결제나 해외 키인결제를 통한 일부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지만, 2차 피해는 전액 보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MBK파트너스도 고개를 숙였다. 윤종하 부회장은 “정보보안 분야에 충분히 투자했다고 생각했지만 부족했다는 것을 인정한다”며 “추가 보안 강화와 피해자 보호 조치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