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상승세 뚜렷, 외곽은 더딘 회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 들어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서 이뤄진 아파트 거래 가운데 약 3건 중 1건은 최고가 갱신 거래(신고가)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지역의 신고가 거래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강남3구의 아파트 거래 중 32.7%가 신고가였다. 같은 기간 노도강의 신고가 비중은 2.8%로 집계됐다.
거래 건수 기준으로도 강남3구는 1633건, 노도강은 65건으로 25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전용면적 84㎡ 기준 평균 매매가에서도 큰 차이가 드러났다.
강남3구의 경우 올해 평균 매매값은 23억8370만원으로 2022년 최고점보다 약 11% 상승했다. 반면 노도강은 7억3662만원으로 2021년 고점 대비 6%가량 낮아졌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격차를 두고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과거 사례에서는 강남권 상승 이후 일정 시차를 두고 외곽 지역 가격도 따라 오르는 흐름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 2019년 하반기 강남3구에서 신고가 거래가 급증한 뒤 6개월 후인 2020년 상반기 노도강에서도 관련 거래가 크게 늘어난 바 있다.
다만 최근에는 고금리, 경기 불확실성,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과거와 같은 순환적 상승 흐름이 반복될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일부 외곽 지역에서도 상승 조짐이 나타나고 있지만, 강남권과의 온도차는 뚜렷한 상황이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올 하반기 서울 주택시장은 강남의 강세와 비강남권의 회복 시도가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지역별 상승세의 속도와 원인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