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중 1명 현재도 보유
금융자산 중 가상자산 비중 14%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20~50대 절반이 한 번 이상 가상자산(암호화폐)에 투자했고 이 중 4명 중 1명은 지금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 남성, 화이트칼라(사무직)가 투자자의 다수를 차지하며, ‘포모(FOMO·놓칠까 봐 불안)’가 아닌 새로운 투자 경험을 위한 참여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50세대 가상자산 투자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2050대 성인 남녀 700명과 가상자산 투자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27%가 현재 가상자산을 보유 중이었다.
이들의 가상자산 투자액은 금융자산의 14%(평균 1300만원)로 전체 평균 대비 1.5배 많았다. 금융자산 보유 규모도 투자자(평균 9679만원)가 비투자자(7567만원)보다 1.3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30·40대가 59%로 과반을 넘었고 40대가 27%, 30대가 23%를 차지했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가 5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7%로 여성(33%)보다 두 배 많았다. 다만 2024년 이후 투자를 시작한 여성 비중이 26%에 달해 여성 투자자의 유입도 확대되고 있었다.
투자 목적은 초기 ‘포모’ 심리가 57%였으나 최근 34%로 줄었고 ‘새로운 투자 경험’ 목적이 44%로 더 높아졌다. 투자자가 보유한 자산은 비트코인 중심이었지만,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알트코인, 밈코인, 스테이블코인 등으로 다양화되는 모습이다.
투자자들이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은 ‘거래소 계좌 개설 시 기존 은행계좌 연동 불가’였다. 향후 ‘1거래소 1은행’ 제한이 완화된다면, 70%가 신규 은행보다는 주거래 은행을 선택하겠다고 답했다.
앞으로 가상자산 투자 의향이 높다는 응답은 43%, 낮다는 응답은 29%였으며, 투자자의 22%는 자녀를 위한 가상자산 매수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운선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가상자산은 투자 포트폴리오 내 주요 역할을 하며 더욱 대중화될 전망”이라며 “법적 제도화, 금융권 역할 확대를 바라는 투자자들의 기대도 높다”고 말했다.
-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준 충돌… 민주 "인사 인질극" vs 국민의힘 "부적격자"
- 더본코리아, 가맹점 배달 로열티 인하 추진… 상생위 30일 출범
- 이재명, 일부 장관급 인선 추가 발표 가능성
- 트럼프, 무역국에 "25% 관세 청구 서한 곧 보낼 것"
- 미국발 관세·내수 부진… 제조업 경기 전망 16분기째 '암울'
- 안철수 "패배 원인 백서로 기록하자… 무기력·무관심 낱낱이 남겨야"
- 김용태, 순직 해병대원 특검 표결 불참 사과
- 국민연금 월 보험료 내달부터 최대 '1만8000원' 인상
- "이름부터 챙겨라"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선점 경쟁 나선 금융·IT업계
- 비트코인, 사상 첫 11만6000달러 돌파… 연내 20만달러 전망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