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김종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협상에서 갈등을 빚는 일본에도 25% 상호관세를 통보했다.
NHK방송과 CNN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과의 무역 관계에 대해 오랜 세월 동안 논의를 이어왔지만, 일본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으로 인한 장기적인 무역 적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서 "양국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에서 멀어져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 부과한 상호관세율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부과한 관세율과 같은 것으로 지난 4월 2일 일본에 제시했던 24%보다는 1%포인트가 높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일본이 어떤 이유로든 자국의 관세를 인상할 경우, 그 인상분은 미국의 25% 관세에 추가로 더해질 것"이라고 경고하면서도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철폐한다면, 관세율 조정을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향후 협상에 따라 관세율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부 다른 국가에 대한 관세율도 발표했다. 카자흐스탄과 말레이시아에 25%, 남아프리카공화국에 30%, 미얀마와 라오스에 40%의 상호관세를 각각 통보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12개국에 보내는 상호관세율 서한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이날 무역협상이 진행중인 국가 가운데 한국과 일본에 가장 먼저 서한을 보냈다. 일본과 한국은 대 미국 무역흑자가 6번째와 7번째로 큰 국가이다. 미국 상무부에 의하면 한국과 일본은 작년 미국에 총 2800억 달러어치의 상품을 수출했다. 반면 미국은 이들 국가에 약 1450억 달러를 수출하는데 그쳤다.
백악관은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등에 적용되는 품목별 관세(통상확대법 232조 기반)는 이번 관세와는 별도로 적용되며, 상호 누적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8일 이시바 총리가 주재하는 긴급 '종합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미일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합의 실현을 목표로 무역협상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