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실리콘, 반도체·태양광 웨이퍼 필수 소재
중국서 79% 생산… 미국, 견제용 관세 가능성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미국 정부가 반도체·태양광 패널 주요 소재인 폴리실리콘에 대한 국가안보 영향을 조사하기로 해 앞으로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졌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중국 견제용일 수도 있다고 보면서도, 관세 항목에 포함되면 공급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폴리실리콘 국내 생산량의 수요 충족 여부, 외국 공급망의 영향, 외국이 수출을 통제할 가능성, 관세 필요성 등 여러 사항에 대해 국가안보 영향 조사에 착수했다.
미 정부는 앞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도 동일한 절차를 거친 후 품목 관세 부과 대상으로 분류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태양광 업계는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태양광 웨이퍼를 만드는 데 폴리실리콘은 필수 자재기 때문이다.
한화솔루션의 경우 현재 미국 공장에 폴리실리콘을 수입하지 않지만, 이르면 올해 말 미국 공장이 가동에 들어갈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 대량의 폴리실리콘을 구매해 미국으로 반입하면 관세에 따른 비용 증가와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OCI홀딩스는 말레이시아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을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 중인데,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폴리실리콘 관세를 신설하면 비교우위 이점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반도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운다. 한국 수출 1위가 반도체 인만큼 공급망이 불안정해거나 비용이 오르면 직접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 폴리실리콘 생산량 79%가 중국, 특히 인권 논란이 끊이지 않는 신장위구르에서 나오기 때문에 미국의 조치는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며 “관세가 발효되면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도 영향권에 들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