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이진숙 등 무자격 오적 규정, 자진사퇴 압박
인사 실패, 집권세력 타격… 낙마 사례로 반전 노림수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를 앞둔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현판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를 앞둔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현판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대선 패배 이후 지지율 회복에 고심 중인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인사청문회에 사활을 걸고 있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당 역량을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 집중해 ‘낙마 사례’를 만들어내고 이를 현 정부의 인사 실패 프레임으로 부각시켜 지지율 반등의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국민의힘은 청문회 주간이 끝나는 오는 18일까지 세금 탈루, 부동산 투기 등을 포함한 ‘7대 인사 기준’을 공개하고‘국민검증단’을 가동해 전방위 인사 낙마 공세에 나섰다.

당은 강선우(여성가족부), 이진숙(교육부), 권오을(국가보훈부), 조현(외교부), 정동영(통일부) 후보자를 ‘무자격 오적’으로 규정하고 자진사퇴 또는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곽규택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지난 15일 “거대 의석만 믿고 ‘묻지마 방탄’을 지속한다면 국민의 엄중한 회초리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강선우, 이진숙 후보자에 대한 공세를 집중하고 있다. 강 후보자에게 제기된 보좌진 갑질 의혹이 다른 의혹보다 국민적 반감을 크게 자극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쯤 되면 본인이 알아서 거취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청문회가 예정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도 낙마를 목표로 ‘송곳 검증’을 예고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야당 간사를 맡고 있는 조정훈 의원은 “이 후보가 제자 논문의 실질 저자가 자신이라고 주장한 것은 사실이라면 제자의 논문이 취소돼 교수직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사안”이라며 “교육부 수장으로서 자격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한편 국민의힘의 이 같은 전략은 과거 사례와 무관하지 않다.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장관급 후보자 5명이 연이어 낙마하면서 국정 지지율이 급락했고 인사 실패가 국정 부정 평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야당은 이 사례를 교훈 삼아 현 정부의 인사 검증 실패를 정면으로 부각시켜 반전의 기회로 삼겠다는 계산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