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AX 전문기업 LG CNS가 2025년 2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연결 기준 2분기 매출은 1조4602억원, 영업이익은 140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0.7%, 2.3% 증가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매출 2조6715억원(6.0%↑), 영업이익 2197억원(29.2%↑)을 달성했다.
AI·클라우드 사업이 실적을 견인했다. 해당 부문 매출은 8724억원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8.2% 성장했다. LG CNS는 NH농협은행, 신한금융, KB금융 등 주요 금융권과 외교부, 경기도교육청 등 공공기관 AX 사업을 수주했다. 엑사원(EXAONE) 기반의 소버린 AI 모델, 코히어와 공동 개발한 에이전틱 AI 기술력도 경쟁력으로 작용했다.
클라우드 부문에서는 국내외 데이터센터 사업이 본격화됐다.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설계를 완료했고, 네이버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 계약도 체결했다. 게임, 금융, 물류업계의 클라우드 전환 수요에 힘입어 MSP 매출도 확대됐다.
스마트엔지니어링은 스마트팩토리 수주가 7배 이상 증가했으며, 방산·정유·곤충 스마트팜 등 신규 산업 진출도 이어졌다. 스마트물류는 북미·국내 물류 자동화 사업이, 스마트시티는 그리스·미국 등 해외 교통사업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냈다.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 매출은 3210억원으로, 증권·보험 중심의 대형 사업과 외교부·법원행정처 등 공공 SI·SM 사업이 수주됐다. 한국은행 CBDC 사업도 수행 중이다.
2분기 부채비율은 67%로 전기 대비 13%p 감소했고, 현금성 자산은 약 1조5000억원, 순현금은 1조1400억원으로 재무건전성도 강화됐다. 이에 따라 6월 주요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AA 안정적’을 획득했다.
하반기에는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 중심의 사업 확대에 나선다. 초대형·경량형 LLM을 활용한 AX사업과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강화하고, 통합 플랫폼 개발과 휴머노이드 기반 RX(로봇전환) 사업도 PoC 단계로 진입했다.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분야에서는 글로벌 톱 티어 기업 스킬드 AI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제조업 현장 적용을 준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