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청문회서 여가부 역할 재정립 강조
"성평등 정책 컨트롤타워로 거듭나야"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여성가족부의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 논의와 맞물려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성평등가족청소년부’로의 명칭 변경에 찬성 의사를 밝혔다. 

청소년 정책의 비중과 상징성을 부처 이름에 반영해야 한다는 국회 지적에 동의한 것이다.

원 후보자는 “여가부의 주요 업무 상당 부분이 청소년 지원인데 부처명에 빠져 있어 오해가 생긴다”며 “정부조직법 개정 논의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청소년 정책은 내년 여가부 예산안의 13.5%를 차지하며, 가족정책(70.6%), 성평등정책(13.9%)과 함께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원 후보자는 부처 청사를 서울에서 세종으로 옮기는 문제에 대해서도 “잔류할 이유가 특별히 확인되지 않았다”며 “관련 법률안이 발의돼 있는 만큼 추진된다면 적극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청문회 과정에서 최근 여가부의 위축된 상황도 언급했다. 원 후보자는 “3년 내내 폐지 논의가 이어지며, 기능 축소와 잼버리 사태 등으로 사기가 꺾였지만, 최근에는 ‘이번이 아니면 안 된다’는 절박함 속에 직원들과 함께 새 출발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확대 개편되는 성평등가족부는 성평등 정책의 총괄·조정 부처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서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사건 당시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이라 표현한 더불어민주당 논란에 대해선 질타가 이어졌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피해자를 피해자로 부르지 않은 것은 명백한 2차 가해인데 당시 윤리심판원 위원으로서 침묵했다”고 지적했다. 원 후보자는 이와 관련 “윤리심판원 규정상 제소된 바가 없어 다루지 못했다”면서도 “피해자를 다른 용어로 호칭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민주당 윤리규범에서 ‘피해호소인’ 표현을 삭제해야 한다는 요구에 “검토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국민의힘 의원들은 “여가부 장관 후보자로서 지금이라도 분명히 문제 제기를 해야 한다”고 거듭 압박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