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살 중량 축소·재료 변경, 소비자 불만
배달앱 가격 2000원 인상… 반발 확산
가맹점주·본사 간 갈등, 집단 소송 준비
국정감사 증인 채택… 업계 전반 번지나

[서울와이어=김익태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잇단 악재로 흔들리고 있다.
최근 순살치킨 중량 축소와 핵심 재료 변경으로 ‘꼼수 인상’ 논란을 불러온 데 이어 서울 지역 가맹점들의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가격 인상까지 겹치며 소비자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일부 가맹점주들은 닭고기 수급 불안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소송까지 예고하면서 내부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 오는 국정감사에서 송종화 교촌에프앤비 대표가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국회 차원의 추궁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지난달 순살치킨 메뉴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줄이고 닭다리살 100% 대신 단가가 낮은 닭가슴살을 혼합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가격은 그대로 유지돼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커졌다.
제품 변경 사실을 사전에 충분히 알리지 않은 점도 지적받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맛이 달라졌다”는 불만과 함께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논란이 채 가라앉기도 전에 서울 지역 매장 대부분이 배달앱 내 주요 메뉴 가격을 일제히 2000원씩 인상했다. 허니콤보 가격은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올랐고 레드콤보·간장콤보·반반콤보 등도 동일하게 적용됐다.
교촌 가맹점주협의회에 따르면 서울 지역 매장의 90% 이상이 가격 인상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교촌 측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소비자 여론은 더 악화됐다.
내부적으로는 가맹점주와 본사 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일부 점주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약 8개월간 본사가 닭고기를 원활히 공급하지 않아 영업 피해가 컸다며 집단 손해배상 소송을 준비 중이다. 본사의 공급망 관리 실패와 책임 회피 태도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송종화 교촌에프앤비 대표는 이달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가맹점 보복 의혹, 꼼수 감량, 우회 인상 등 최근 불거진 논란과 관련해 여야 의원들의 집중 추궁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교촌이 특정 가맹점주의 공정거래위원회 제소를 빌미로 재계약을 거절한 ‘보복 행위’ 의혹도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국회 차원의 검증까지 예고되면서 교촌의 위기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외식업계에서는 교촌의 행보가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bhc, 맘스터치, KFC 등 주요 브랜드들이 이중가격제를 시행하거나 중량 축소를 단행하며 ‘슈링크플레이션’ 흐름이 확산하고 있다.
교촌이 이번 위기를 어떻게 돌파하느냐에 따라 치킨 프랜차이즈시장 전반의 신뢰와 경쟁 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국정감사에서의 추궁은 교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업계 전반의 관행에 대한 경고가 될 것”이라며 “슈링크플레이션과 이중가격제 확산 흐름을 막기 위한 제도적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교촌에프앤비 '바르고 봉사단', 특수학급 학생 맞춤 체험학습 진행
- 양 줄이고 가슴살 섞은 교촌치킨, 가격도 인상
- 교촌치킨, 길림성 외식기업과 MF 계약… "중국 동북부 공략 본격화"
- 교촌치킨, 롯데JTB와 업무협약… "글로벌 고객 체험 프로그램 본격 추진"
- 프랜차이즈 '이중가격제' 확산… 소비자 혼란·불신↑
- 맘스터치, 에드워드 리 셰프와 '두번째 협업' 제품 3종 출시
- bhc, 추석 연휴 기간 주문량 20%↑… 인기메뉴는 '뿌링클'
- 맘스터치, 세 번째 드라이브 상권 매장 '전주효자DI점' 오픈
- 본사와 가맹점의 전면전… 정부까지 나선 '교촌치킨 사태'
- "뿌링클을 팝콘으로 즐긴다"… bhc, '뿌링팝콘' 출시
- 순살치킨 중량 줄였던 교촌치킨, 기존대로 원상복구
- bhc, 태국 13호점 오픈 한달만에 오픈런 행렬… 해외서도 핫한 '뿌링클'
- 다이닝브랜즈그룹 봉사단 '다인어스', 전통문화 체험 멘토링
- bhc, KBO 가을야구 열기 함께 누렸다... 스폰서십 효과 '톡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