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촌 본사vs가맹점, 닭다리·날개 놓고 '정면충돌'
정부도 칼 뽑았다… 공정위·대통령실 "엄정 조치"

교촌치킨이 단행한 각종 원가 절감 조치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사진=교촌에프앤비
교촌치킨이 단행한 각종 원가 절감 조치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사진=교촌에프앤비

[서울와이어=김익태 기자] 교촌치킨이 단행한 각종 원가 절감 조치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최근 가맹점들과의 갈등이 전면화되며 본사와 점주 간의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소비자는 물론 정치권, 공정거래위원회, 대통령실까지 나서며 본사 행보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논란은 지난 5월 교촌치킨이 서비스 콜라 유료화를 시작하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독점 입점 시도, 국내산 닭 대신 태국산 원료로 대체한 메뉴 변경, 사전 고지 없는 순살치킨 중량 축소 등이 잇따르면서 ‘기습 조치’에 대한 소비자 반발이 거셌다.

특히 9월에는 순살치킨 조리 전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이면서 슈링크플레이션 논란에 직면했고 기존 닭다리살 대신 닭가슴살을 혼용하면서 품질에 대한 불만도 함께 불거졌다.

이런 가운데 교촌 본사에 대한 가맹점주들의 불만도 폭발하고 있다. 일부 점주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약 10개월간 닭다리·날개 등 핵심 부위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영업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점주들은 현재 본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준비 중이며 외부 사입을 막은 것은 ‘지위 남용’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본사는 외부 사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고 이를 어길 경우 계약 해지 등 경고를 해온 정황도 드러나면서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지난 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여야 의원들이 송종화 교촌에프앤비 대표를 상대로 집중 질의에 나섰다.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순살치킨 중량 축소 문제를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꼬집으며 “소비자 고지가 부족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원재료 공급 차질로 인한 가맹점 피해 사례를 언급하며 공정위 신고에 따른 보복 조치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에 송 대표는 “홈페이지 공지만으로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한다”며 “배달앱 등 전 채널에서 고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원재료 수급 관련해선 “공급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외부 사입은 “브랜드 품질 관리 차원에서 제한된다”고 선을 그었다.

공정위도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불공정 거래나 가맹점 피해 사실이 확인되면 법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으며 대통령실 역시 최근 “음식 중량 축소나 원재료 변경 등 꼼수 가격 인상 행태에 제동을 걸 방안을 마련하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업계에선 이를 사실상 교촌치킨을 겨냥한 메시지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상황은 단순한 프랜차이즈 운영상의 마찰을 넘어 가맹점 생존권과 소비자 신뢰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와 점주, 정치권과 정부까지 모두 한 목소리로 본사의 ‘일방통행식 경영’을 비판하는 가운데 교촌치킨이 어떤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