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로비·증거 인멸·비자금 조성 의혹 '사실무근'
KF-21 개발·K방산 수출 차질 없도록 사실관계 잡을 것
이라크·말레이시아 수출 정상 진행, 외교 신뢰 훼손 우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지난 28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제기한 각종 의혹에 대해 “모두 사실이 아니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30일 KAI는 입장문을 통해 “정치적 해석이나 외부 압력과 무관하게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대응하고 있다”며 “근거 없는 주장은 K-방산의 신뢰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KAI는 스마트팩토리 소송과 관련해 정치적 로비나 외부 압력을 의식해 대응 전략을 세웠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해당 사건의 원고 시스노바는 지난 8월 법원에 참고서면을 제출하면서 ‘피고(전 대표이사) 고발’ 관련 기사들을 증거로 첨부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내부 문건을 작성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법원은 1심 판결에서 시스노바의 미지급 용역대금 청구를 “스마트플랫폼이 완성되지 않았고 기능을 입증할 증거가 없다”며 기각 판결했다.
KAI는 “사업 중단에 대한 의혹은 이미 해소됐고, 항소를 통해 미완성 부분의 손해배상을 입증할 예정”이라며 “정치적 고려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이 제기한 소형무인기 사업 관련 증거 인멸 의혹에 대해서도 KAI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KAI는 “담당 임원의 PC는 포맷 없이 그대로 보존돼 있고 회사는 사규에 따라 수명 연한이 도래한 전산기기만 정기적으로 폐기한다”며 “올해 3월 파쇄된 3,185건의 저장매체는 무인기 이슈가 불거지기 전 이뤄진 정기 절차”라고 설명했다.
무인기 관련 업무를 맡았던 154명 전원의 HDD가 보존돼 있으며 교체된 장비의 데이터도 신규 저장장치로 이관돼 “어떠한 훼손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서는 “투자금이 특정인에게 흘러갈 구조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모든 스타트업·중소기업 지분 투자는 법무·재무 부서와 외부 법무법인 검증, 4차례 이상 사내 심의 및 이사회 의결을 거쳐 진행되며, 강구영 전 사장 퇴임 후에는 신규 투자도 없었다는 설명이다.
KAI는 “투자 대상 기업들은 방산혁신기업 100에 선정된 기술력 검증 기업들”이라며 “비자금 조성 주장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했다.
또 강 전 사장의 자문료 특혜 의혹과 관련해선 “퇴임 임원 전원에게 동일 기준이 적용되며 자문료는 총연봉의 약 40% 수준으로 업계 하위 수준”이라며 배임·횡령 주장을 일축했다.
이라크 수리온 수출은 지난해 12월 2대 규모로 계약을 체결했으며 대통령실 지시는 없었다고 KAI는 강조했다. 또 말레이시아 FA-50 수출에 대해선 “2017년부터 6년간의 시장 개척과 2021년 국제 공개입찰 절차를 거쳐 성사된 투명한 계약”이라며 “마약 밀반입 사건과의 연계는 외교적 신뢰를 훼손하는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 KAI·에어버스, 항공우주 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MOU 체결
- KAI, KRATOS와 전략적 상호 협력 MOU 체결
- KAI, ADEX 2025서 미래 전장 연다… AI 파일럿·무인기 첫 공개
- KAI, 국산 항공기 3종 총 8037억원 규모 PBL 사업 수주
- KAI, 'K-Aerospace 오픈 이노베이션' 참여… 딥테크 기업과 기술 협력 강화
- KAI, 군 정찰위성 5호기 발사 성공… '425사업' 완성하며 우주강국 도약
- KAI·기품원, AI 기반 항공기 결함 예측 모델 개발… 품질관리 혁신 시동
- KAI, 항공소재국산화 성과 발표… 총 228종 국산화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