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김익태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됐던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631개가 정상화됐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행정정보 시스템 709개 중 631개가 복구돼 89.0%가 정상화됐다”며 “특히 국민 일상과 밀접한 1등급 시스템은 100% 복구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다만 아직 78개 시스템의 복구가 남아 있고 이 중 64개는 대전센터에서 복구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며 “11월 셋째주까지 (복구를) 모두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단계별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 중”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8일에는 ‘국민신문고(국민권익위원회)’, ‘통합보훈(국가보훈부)’ 시스템이 복구돼 국민제안, 보훈대상자 등록·심사 등 민원을 접수하고 처리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민원창구가 기능을 회복했다.
또 ‘국민비서알림서비스(행안부)’와 ‘안전디딤돌(행안부)’도 복구돼 건강검진, 세금납부 등 생활밀착형 행정정보와 지진, 산불, 화재 등 각종 재난상황 알림을 다시 받을 수 있게 됐다.
대구센터 이전 대상으로 남아있는 14개 시스템은 예비비를 추가 확보하고 이전을 조속히 마무리하다는 계획이다.
윤 본부장은 “정부는 이번 일을 단순히 정부 행정정보 시스템을 복구하는 차원을 넘어 디지털 정부의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 안정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인프라의 근본적 재설계를 추진해 내실 있는 인공지능(AI) 민주 정부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