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1월은 평년 기온과 비슷…2월은 평년보다 높을듯

기상청에 따르면 올겨울은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더 높아 크게 춥지 않을 것으로 예보됐다. 사진=서울와이어DB 
기상청에 따르면 올겨울은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더 높아 크게 춥지 않을 것으로 예보됐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정윤식 기자] 올겨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더 높아 크게 춥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온 변동폭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상청이 24일 발표한 '3개월 전망'에 따르면 12월은 기온이 평년(0.5∼1.7도)과 비슷할 확률이 50%, 평년기온을 웃돌 확률이 30%, 평년보다 낮을 확률이 20%로 제시됐다.

내년 1월 기온도 평년(-1.5∼-0.3도)과 비슷할 확률이 50%, 높을 확률이 30%, 낮을 확률이 20%로 12월과 같은 확률로 나타났다.

내년 2월은 기온이 평년(0.6∼1.8도)과 비슷할 확률과 웃돌 확률이 각각 40%, 낮을 확률이 20%로 예상됐다.

12월과 1월의 기온 상승 요인으로는 북대서양과 인도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가 가을철 동안 높게 유지되고 있어서다.

대서양과 인도양의 수온이 높게 유지되면 대기 파동으로 우리나라 부근에서는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겨울철 한반도 부근에서 고기압이 강해지면 상대적으로 온화한 서풍 또는 남풍이 불어와 예년보다 기온이 상승하게 된다.

티베트의 눈 덮임도 평년보다 적은 상황인 데다 온난화 추세도 따뜻한 겨울이 예상되는 대표적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올겨울 기온 변동성이 클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포근한 날씨를 보이다가 기습 한파가 찾아올 수 있다는 관측이다.

올해 12월과 내년 1월은 적도 동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낮아지는 약한 '라니냐'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라니냐가 발달하면 한반도는 대기 순환의 간접영향으로 겨울철에 평년보다 기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을철 동부 유라시아의 많은 눈 덮임, 북극해의 적은 해빙 영향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우리나라로 확장하면 한파의 위력을 키우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날씨 #추위 #한파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