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수요둔화 심화로 보합·하락 가능성… 지역 양극화 우려
착공 감소·PF 리스크 지속… 공급 기반 약화가 가격 흐름 좌우

서울 성동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성동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내년 수도권 주택 가격이 2∼3% 수준의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공급 공백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3기 신도시 지연 등 구조적 요인이 가격을 떠받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수도권시장에 대해 “수도권은 착공 감소, PF 리스크, 3기 신도시 공사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내년 집값이 2∼3%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지방 시장은 인구 감소와 수요 기반 약화로 인해 1% 안팎의 하락 또는 보합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고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을 두고 “수도권은 매수 심리·거래·가격이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정체가 이어졌다”고 평가하며, 지역 간 양극화가 더 뚜렷해졌다고 분석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건설업 전반에 대해 단기적 긍정 요인에도 구조적 제약이 더 크다는 진단이 나왔다.

박선구 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 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 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투자는 올해 약 9% 감소한 264조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약 2% 증가한 269조원으로 ‘제한적 반등’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건설업 계약액 역시 올해 7% 감소 후 내년 4% 증가하는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공사 종류별 회복 속도 차이와 지방 전문업체의 경영 부담이 지속되는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