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장 31명, 전무 55명, 상무 111명 등
실적 개선 감안, 승진 인사 폭 확대…성과주의 원칙 반영
부사장 31명 승진…미래 CEO 후보군 강화
SW 분야 우수 인력 승진 확대…미래 핵심 성장동력 확보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선임 … 최고 기술회사 지향

고승환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고승환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채명석 기자] 삼성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어려웠던 2020년 상황에도 불구하고 실적 개선을 이뤄내면서 3년만에 최대 규모인 214명의 임원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삼성전자는 4일 임원과 펠로우(Fellow), 마스터(Master)에 대한 2021년 정기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 올해는 부사장 31명, 전무 55명, 상무 111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214명을 승진시켰다. 승진 임원수는 2017년 말 221명 이후 3년 만에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는 2017년 5월 90명을, 그해 말 221명이 승진했으며, 2018년에는 158명, 올해 1월에는 162명이 승진했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따른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도 수요에 대한 적기 대응과 운영 효율화를 통해, 지난해 대비 실적이 크게 개선된 점을 감안해 승진 인사 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영성과와 탁월한 리더십을 겸비한 핵심인재 31명을 부사장으로 승진시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뉴 삼성’을 이끌어갈 미래 CEO(최고경영자) 후보군을 두텁게 했다.

주요 인사로는 고승환 VD사업부 구매팀장이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1962년생인 고 부사장은 배재고등학교와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입사 후 회사의 핵심 업무 가운데 하나인 구매에서 대부분의 경력을 채우며, 글로벌 소싱 시스템을 갖추는 생산성 극대화에 기여해왔다. 삼성전자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패널 가격 예측 시스템을 도입해 코로나19로 인한 국가별 부품 공급 운영 불확실성을 해소했다고 설명했다.

이강희 생활가전사업부 전략마케팅장 부사장은 올해 두드러진 실적 개선을 이뤄낸 생활가전사업부에 대한 포상이 일환으로 승진이 예견되어 왔다. 1962년생으로 서울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87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다양한 해외지역 수출 업무를 담당했으며, 세탁기와 냉장고 등 생활가전 마케팅 업무에 전념하는 등 이 분야 전문가로 불린다. 회사측은 비스포크 등 고객 맞춤형 혁신 제품 라인업 강화와 판매 확대를 통해 가전 연간 매출 기네스 달성에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김학상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김학상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김학상 무선사업부 NC개발팀장 부사장은 무선 상품화 하드웨어(HW) 개발 전문가로 갤럭시탭‧갤럭시북 시리즈 개발을 주도해 태블릿 PC 비즈니스 성장과 견고한 수익을 창출했다.

1966년생은 김 부사장은 영남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석사를, 미국 메사추세츠대학교 로웰 캠퍼스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방과학연구소를 거쳐 1999년 삼성전자에 입사후 무선사업부에서 하드웨어 개발 업무를 주로 담당해왔다.

최방섭 미국 SEA법인 모바일 비즈니스장 부사장은 모바일 영업 전문가로 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 북미 스마트폰 매출과 시장점유율 확대, 손익 개선 등 시장 지배력 강화를 주도한 공로로 승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최 부사장은 1963년생으로 신흥고등학교와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했다. 1987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북미총괄 미국 STA 담당임원, 전략팀 담당임원, 무선사업부 구주‧CIS(독립국가연합) PM그룹장을 거쳐 2018년부터 SEA 법인 모바일 비즈니스장을 맡아왔다.

최승범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최승범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최승범 삼성리서치 기술전략팀장 부사장은 기술전략 전문가로 AI(인공지능), 로봇, 차세대 통신의 기술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미래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1964년생으로 대성고등학교와 연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경영학석사(MBA) 학위를 받았다. 1987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기술‧혁신 T/F장, 전략팀 담당임원 소프트웨어센터 S/W전략팀장을 거쳐 2017년부터 삼성 리서치 기술전략팀장을 맡고 있다.

윤태양 글로벌인프라총괄 평택사업장 부사장은 개발부터 양산에 걸쳐 공정‧설비 노하우가 뛰어난 제조기술 전문가로 신규라인 셋업 및 설비 최적화 문제 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윤태양 부사장은 1968년생으로 연세대 세라믹공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에서 재료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기흥‧화성단지 메모리제조센터 메모리E기술팀장, 기흥‧화성‧평택단지 메모리제조기술센터 기술혁심팀장에 이어 올해 1월부터 글로벌인프라총괄 평택사업장을 맡고 있다.

이석준 시스템LSI사업부 LSI개발실장 부사장은 ·다양한 제품 개발을 경험한 회로 설계 전문가로 DDI(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수많은 화소들을 조정해 다양한 색을 구현토록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칩), 파워, 보안 등 LSI(대규모직접회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며 신규사업 확장에 기여했다.

1965년생으로 서울대 전자전기공학과를 졸업했으며, KAIST에서 전자전기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S.LSI사업부 SOC 개발실 SOC설계팀장, 플랫폼개발팀장에 이어 올해 1월부터 LSI개발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황기현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황기현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황기현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 공정개발팀장 부사장은 Diffusion(확산) 공정개발에 대한 세계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전문가로 D램, 낸드(NAND), 로직 등 차세대 제품의 독보적인 공정개발 역량을 확보했다.

황 부사장은 1967년생으로 서울대 무기재료공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 대학원에서 무기재료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입사 후 반도체연구소 공정개발실에서 공정개발1P/J, 공정개발2팀장을 거쳐 올해 1월부터 파운드리공정개발팀장을 맡고 있다.

한인택 종합기술원 재료(Material)연구센터장 부사장은 나노재료 및 소자개발 전문성을 토대로 디스플레이 퀀텀닷 소재, 차세대 메모리용 High-K 물질 등 핵심 소재를 개발하고 성과를 창출하는 데 주도했다.

삼성전자는 성과주의 원칙에 따라 연령, 연차에 상관없이 성과가 우수하고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인재들을 과감히 발탁했다. 이번 인사에는 25명이 승진대상이 포함되었는데 올해 1월 24명보다 많은 규모다. 발탁 승진은 2017년 5월 8명, 그해 말 13명, 2018년말 18명 등 매년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기수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기수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기수 생활가전사업부 개발팀장 부사장은 가전 개발 및 상품전략 전문가로 비스포크 냉장고, 그랑데AI 세탁기 등 혁신 가전 기획과 개발을 통해 가전 시장을 선도했다.

1964년생으로 영일고와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했으며, 한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기계설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입사해 생활가전사업부에서 개발팀 세탁기개발그룹장, 리빙개발그룹장, 상품전략팀장을 거쳐 올해 1월부터 개발팀장을 맡고 있다.

이준희 네트워크사업부 선행개발그룹장 부사장은 무선통신 기술 전문가로 5G vRAN(기지국 가상화 기술) 상용화를 주도해 미국 버라이존 등 글로벌 통신사업자 대형 수주하고 기술에 대응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이준희 부사장은 1969년생으로 서울고와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입사했으며, 무선사업부 CP 시스템 S/W개발그룹장, CP개발팀장, 기술전락팀장에 이어 올해 4월부터 네트워크사업부 선행개발구룹장으로 일하고 있다.

정호진 삼성전자 전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정호진 삼성전자 전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정호진 한국총괄 CE영업팀장 전무는 CE 영업 및 마케팅 전문가로 올해 코로나19라는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혁신 제품 마케팅 활동 강화를 통해 국내 CE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이진영 메모리사업부 플래시 설계팀장 전무는 플래시 메모리 제품 설계 전문가로 수세대에 걸쳐 V낸드(V-NAND) 개발에 성공, 고단 V-NAND 제품의 양산성 및 특성, 품질 등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

박성제 VD사업부 TV개발랩 상무는 TV 및 회로개발 전문가로 'AI 업스케일링'기술을 활용한 QLED 8K TV 개발과 더 세로·더 프레임·더 세리프 TV 등을 고안해 라이프스타일 TV 경쟁력을 제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민우 무선사업부 영업혁신그룹 상무는 모바일 영업 및 전략 전문가로 글로벌 시장 분석을 통한 판매 전략 수립과 셀아웃 관리체계 고도화로 모바일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이윤수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윤수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윤수 삼성리서치 AI 서비스랩장 상무는 AI 및 데이터 분석 기술 전문가로 AI 기반의 사내 물류시스템 개선, 데이터 추론 기술에 기반한 패밀리허브, 스마트싱스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했다.

노강호 메모리사업부 S/W개발팀 상무는 스토리지용 펌웨어(Firmware) S/W 전문성과 머신 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제품의 수명, 성능 등 신뢰성 향상 및 최적화에 기여했다.

최현호 종합기술원 유기소재랩 상무는 유기소재, 광학물리에 대한 뛰어난 이해도를 기반으로 차세대 블루OLED 발광소재 개발 등 OLED 소재 및 유기반도체 기술 확보에 기여했다.

삼성전자는 조직 혁신과 지속가능경영의 기반이 되는 ‘다양성과 포용성(D&I; Diversity & Inclusion)’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외국인과 여성에 대한 승진 문호 확대 기조를 유지했다.

올해 외국인‧여성 신임 임원수는 10명으로 지난 2월 9명과 동등한 수준이었다. 2017년 5월에는 3명, 그해 말에는 11명이 신임 임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2018년말에는 11명이 승진했다.

스틴지아노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스틴지아노 삼성전자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스틴지아노 SEA법인(미국) CE 비즈니스장 부사장은 미국 CE 영업 전문가로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미국 CE 매출 지속성장과 수익성을 제고했다.

메노 네덜란드 SEBN법인장 전무는 유럽시장 모바일 영업 전문가로 베네룩스 지역 판매 전략 고도화를 통한 견고한 수익성 유지와 프리미엄 제품군 시장지배력 강화에 기여했다.

드미트리 러시아 SERC법인 CE B2C팀장 드미트리 상무는 러시아 CE 영업 전문가로 러시아 프리미엄 TV 시장점유율 61% 달성과 라이프스타일 가전 매출 지속 확대 등 1위 위상을 공고히 했다.

아라이 DS부문 일본총괄 영업팀장 상무는 일본 메모리‧디스플레이 담당 현지인 영업리더로 대형 고객사들과의 네트워크 및 영업력을 바탕으로 일본내 반도체 매출 극대화에 기여했다.

한상숙 삼성전자 전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한상숙 삼성전자 전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한상숙 VD사업부 서비스 비즈니스팀 부팀장 전무는 서비스 기획 전문가로 서비스 파트너십 강화를 통한 TV 서비스 이용자 확대, 서비스 사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유미영 생활가전사업부 S/W개발그룹장 전무는 가전 S/W를 총괄하는 여성 리더로 그랑데AI 세탁기 개발, 가전 제품내 음성인식 적용 등 차별화된 S/W 개발을 통한 제품 혁신을 주도했다.

조인하 스웨덴 SENA법인장 전무는 구주, 중남미 영업 및 마케팅 전문가로 북유럽 4개국 소비자 가전 전 제품군 매출의 지속 성장과 시장점유율(M/S) 확대를 이뤄내는 등 시장 리더십을 제고했다.

김수진 경영지원실 글로벌협력팀 전무는 해외 변호사,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경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분야 전사 중장기 전략 수립과 현안 대응에 기여했다.

박진영 DS부문 설비구매그룹장 전무는 반도체 설비구매 전문가로 글로벌 역량과 다양한 구매 거래선과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반도체 차세대 핵심설비 적기 확보에 기여했다.

배희선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배희선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배희선 VD사업부 한국·중국PM그룹장 상무는 TV 영업 전문가로 프리미엄 제품군 중심의 판매 전략을 통해 동북아 지역에서 견실한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전소영 무선사업부 해외지원그룹 상무는 재무 및 전략 전문가로 코로나19로 인한 사업환경 악화에 대비해 온라인 사업비중 제고와 투자비·유통재고 관리 등을 통한 수익성 극대화에 기여했다.

임아영 네트워크사업부 서남아BM그룹 상무는 네트워크 B2B 영업 전문가로 서남아 5G 비즈니스 전략 수립 및 실행, 인도의 지오(Jio) 신규 제품 상용화와 신사업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윤경 삼성리서치 데이터분석랩 상무는 S/W 및 빅데이터 전문가로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자동 분석 시스템, AI 연구용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등 전사 데이터 운영체계 고도화에 기여했다.

김은하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김은하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김은하 IP센터 라이센싱2그룹 상무는 법학 지식을 겸비한 IP(지식재산권) 전문가로 모바일과 네트워크 IP 관련 주요 소송 타결, 협상을 통한 비즈니스 리스크 제거 및 로열티 비용 절감에 기여했다.

권기덕 경영지원실 전략그룹 상무는 산업 및 경영전략 전문가로 전사 중장기 경영 전략 수립, IoT(사물인터넷) 전략 재정비, 데이터 관리체계 개선과 신사업 발굴 활동을 강화했다.

장순복 메모리사업부 컨트롤러 개발팀 상무는 스토리지 컨트롤러의 IP, 저전력 설계 등 전문성을 보유한 여성 리더로 기업용 고성능 SSD 및 모바일용 UFS(마이크로SD와 규격이 비슷한 차세대 메모리카드) 제품의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구봉진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구봉진 삼성전자 상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구봉진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 공정개발팀 상무는 Diffusion 선행 공정 개발 전문가로 플래시 CTF, D램 캐패시터 등 뉴 메모리 제품의 핵심기술 개발 및 반도체 공정기술 확보에 기여했다.

삼성전자는 S/W 분야 우수인력 승진을 확대해 S/W를 중심으로 한 미래 핵심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번 인사에서 승진한 S/W 인재는 21명으로, 2017년 5월 7명, 그해 말 15명, 2018년말 12명, 올해 1월 10명 등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윤장현 무선사업부 S/W 플랫폼팀장 부사장은 무선 S/W 개발을 총괄하며 S/W 플랫폼 개발, UI(사용자인터페이스) 고도화를 통한 스마트폰 기술 경쟁력 및 소비자 경험 강화를 주도했다.

이종열 메모리사업부 S/W개발팀장 부사장은 스토리지용 펌웨어(Firmware) S/W 전문성과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도를 기반으로 SSD, UFS 등 솔루션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했다.

김정식 무선사업부 전략제품S/W PL그룹장 전무는 갤럭시S20, 노트20, Z플립, Z폴드2 제품 등의 S/W 개발을 담당하며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김강태 삼성전자 전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김강태 삼성전자 전무. 사진=삼성전자 제공

김강태 삼성리서치 SE팀장 전무는 S/W 개발 및 품질 전문가로 전사 S/W 코드리뷰 및 관리 프로세스 고도화, 코드리뷰 자동화 도구 개발 등 S/W 개발 경쟁력을 강화했다.

김용재 VD사업부 S/W개발그룹장 전문위원(전무급)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출신으로, 스마트 TV S/W 개발 등 TV S/W 기술력 제고를 통한 제품 차별화에 기여했다.

정서형 네트워크사업부 코어 S/W개발그룹장 전문위원(전무급)은 S/W 구조 설계 전문가로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개발을 주도하며 차세대 통신 신기술 확보에 기여했다.

현대은 VD사업부 AI·빅데이터랩장 상무는 AI S/W 개발 전문가로 넷플릭스, 구글 등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주도하며 머신러닝 기반의 TV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제품 차별화에 기여했다.

삼성전자는 회사의 기술력을 대표하는 연구개발 부문 최고 전문가로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을 선임해 최고 기술회사 위상을 강화했다.

이번 인사에서 펠로우‧마스터에 선임된 인재는 17명이다. 2017년 5월에는 7명, 그해말에는 16명이 선임됐으며, 2018년말에는 15명, 올해 1월에는 18명이 명칭을 받았다.

윤보인 삼성전자 펠로우. 사진=삼성전자 제공
윤보인 삼성전자 펠로우. 사진=삼성전자 제공

윤보언 반도체연구소 공정개발실 펠로우는 차세대 반도체 CMP 공정, 설비, 소재 등 세계적인 기술 권위자로, CMP 관련 난제 해결을 통해 반도체 수세대 제품 경쟁력 제고에 기여했다.

최항석 무선사업부 파워솔루션그룹 마스터는 차세대 고속충전 기술 전문가로 갤럭시S20, 폴드 초고속 충전 모듈을 개발해 만충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등 제품경쟁력을 제고했다.

배근희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 공정개발팀 마스터는 로직 제품 에칭(Etch)공정 전문가로 EUV(극자외선) 적용 BEOL 패터닝(Patterning)과 특화 기술 개발을 통해 EUV 기술 양산화와 초격차 확보에 기여했다.

김상준 종합기술원 컴퓨팅플랫폼랩 마스터는 AI 알고리즘 및 시스템 설계에 탁월한 전문성을 보유해 뉴로모픽 프로세서, 전자약 핵심 기술 등 차세대 칩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번 2021년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경영진 인사를 마무리했고, 조만간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