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한 뒤 삼중수소(트리튬) 농도 측정결과를 확인하지 않고 해양 방류할 방침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한 뒤 삼중수소(트리튬) 농도 측정결과를 확인하지 않고 해양 방류할 방침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박성필 기자]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 측정결과를 확인하기 전에 바다로 흘려보내겠다고 결정했다. 측정결과가 나오는 시간 동안 오염수를 보관할 장소가 없다는 게 이유다.

12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한 뒤 삼중수소(트리튬) 농도 측정결과를 확인하지 않고 해양 방류할 방침이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저장탱크에 있는 오염수에는 64종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됐다. 보관된 오염수의 70%는 삼중수소 외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일본정부의 기준을 초과한 상황이다. 일본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활용해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기준치 미만으로 낮출 계획이지만, 삼중수소는 기술적으로 제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본정부 기준의 40분의 1에 해당하는 1ℓ에 1500베크렐(㏃) 미만으로 삼중수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오염수를 바닷물로 100배 이상 희석해 해양 방류할 방침이다. 도쿄전력은 바닷물로 희석하기 전에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한 뒤 희석에 필요한 바닷물의 양을 산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바닷물로 희석한 뒤 삼중수소 농도가 1500베크렐 이상이더라도 측정결과가 한나절에서 하루 뒤에 나오기 때문에 그동안에는 오염수가 계속 바다로 방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작업 검토회 위원인 하치스카 레이코가 “가능하면 (삼중수소) 농도를 확인하고 (바다에) 흘려보냈으면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