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 글로벌 반도체 호황으로 투자확대 영향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 상반기 대기업의 투자액이 전년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지난해보다 투자는 감소했고, 업종·기업별 양극화도 나타났다.
20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기업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332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상반기 이들 기업의 총 투자액(유·무형자산 취득)은 82조810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9조1623억원)보다 4.6%(3조6479억원)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 12.6%(9조2396억원) 상승했다. 업종별로 정보통신(IT)·전기·전자의 투자액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호황으로 지난해 상반기 30조6123억원에서 23.5% 오른 37조825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시설 투자를 확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반기 사상 최대 투자를 집행했다. 전년 대비 26.7% 늘어난 25조1149억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도 상반기 전년 대비 40.5% 증가한 7조4772억원을 투자했다. 이천사업장 증설과 신규 장비 반입 등 설비 부문에만 6조9480억원이 집중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한 기업들은 이와 반대로 상반기 투자액이 전년 대비 7.0% 이상 감소했다. 전기전자 업종 외 유통(증가액 3457억원)과 제약(2566억원), 식음료(2246억원), 서비스(2218억원) 등 11개 업종에서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투자액이 증가했다.
이에 비해 석유화학(1조7788억원) 업종과 자동차·부품(1조1520억원) 업종은 전년 대비 1조원 이상 투자 규모가 줄었다. 공기업(-4593억원), 조선·기계·설비(-4359억원), 통신(-4010억원), 철강(-3998억원) 업종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 삼성디스플레이, 'UPC'로 진짜 풀스크린시대 열었다
- 대기업 상반기 영업이익 100조 돌파, 코로나 타격 벗어나
-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한 SK하이닉스… 현지 별도법인 신설추진
- 삼성전자, 메모리반도체 왕좌 탈환했는데… 파운드리가 발목잡나
- SK하이닉스, 3년 만에 분기 최대실적… 매출액 10조원 돌파
- [반도체 슈퍼호황 ③] 디램·파운드리 생산능력 투자로 '연착륙'
- [코로나19 통합뉴스룸] 신규확진 2052명… 수도권 비중 64.9%
- 프롬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 내달 코스닥 상장 목표
- 갤럭시워치4 채웠더니 심낭염 발견했다
- SK그룹, '이천포럼 2021' 23일 개막
- SK하이닉스, 하반기 수시채용 접수… 29일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