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월세는 62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2015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사진=다방 제공
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월세는 62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2015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사진=다방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셋집에서 거주하기 위해서는 평균 5683만원 월세보증금에 62만원 월세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가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월세와 월세 보증금 추이를 조사한 결과 평균 월세(올 7월 기준)는 62만4000원이다. 이는 2015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빌라 7월 평균 전세금이 2억4300만원이고, 이를 통해 구한 전월세전환율이 4%라는 점을 적용하면 월세보증금이 1000만원일 경우 월세는 78만원이다. 올해 기준 4인가구 중위소득(487만6290원)의 16%다.

서울 강북 도심권과 강남 동남권 빌라 평균 월세는 각각 84만4000원, 88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서울 평균치를 35%이상 웃돌았다. 강북 서북권(55만7000원)과 강남 서남권(52만1000원) 등은 서울 평균치에 미치지 못했다.

서울 빌라 평균 월세보증금은 5683만7000원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2886만1000원) 대비 96.9% 높다. 강북 도심권은 9480만4000원으로 서울에서 월세보증금이 가장 높았다. 

경기 지역도 마찬가지다. 경기 경부1권 빌라 평균 월세는 98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월세(50만원) 대비 약 2배 높은 수치다. 경부1권 빌라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과 수도권 3기 신도시 개발 영향으로 매매가격이 급등했고, 임대시장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빌라 전세가격 대비 보증금비율은 감소세를 나타낸다. 올 7월 서울빌라 전세가 대비 보증금비율은 22.3%를 기록했다. 6월(22.9%)보다 0.6%포인트 감소했다.

다방 관계자는 “임대시장 수급균형이 깨져 월세와 월세보증금이 오른다”며 “계약갱신청구권 등 임대차 3법으로 내년 임대물량도 묶일 가능성이 크다. 수급상황이 급격하게 좋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