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가 20일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CJ대한통운 전국대표자 총파업 선포대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이 택배노조 총파업에 명분이 없어 국민 공감대를 얻기 힘들 것이라며 파업 철회를 요구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경영계가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의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7일 입장문을 내고 “택배노조는 올해 이미 세 번의 파업을 강행했고, 매번 정부와 정치권의 개입과 사회적 합의가 뒤따랐다”며 “‘위력과 투쟁을 통하면 무엇이든 얻을 수 있다’는 구시대적 노동운동 발상에서 비롯된 파업에 공감할 국민은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 산하 CJ대한통운본부는 사측이 사회적 합의를 위반하고 요금을 인상해 과도한 초과이윤을 얻고 있다며 요금인상분에 따른 이익 분배를 요구한 상태다. 

CJ대한통운 지부는 이를 바탕으로 쟁위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조합원 93.6%의 찬성을 얻었다. 이들은 택배요금 인상분 분배와 당일 배송 등의 조건이 담긴 계약서 철회를 요구하며 오는 28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경총은 이와 관련 “노조가 주장하는 사회적 합의 위반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CJ대한통운 등 각 택배사는 사회적 합의에 따른 비용 투자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CJ대한통운이 표준계약서에 택배기사 과로를 유발하는 내용의 부속 합의서를 추가했다는 주장과 관련 “표준계약서를 근거로 작성해 정부의 승인을 받은 사항”이라며 “사회적 합의 원칙으로 택배기사의 작업시간은 주 60시간 이내로 제한됐기 때문에 노조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