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가격 12억4978만원, 지방 3억9701만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집값 양극화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2017년 5월 서울과 5대 광역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각각 6억708만원, 2억6200만원이다. 가격 차이는 3억4508만원에 달했다.
5대광역시 집값이 급등했으나 서울 집값의 상승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4978만원으로 2017년 5월 대비 105.9% 급등했다. 5대 광역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억9701만원으로 같은 기간 51.5% 상승했다.
서울 상승폭이 월등히 높아 서울과 5대 광역시 아파트값 차이는 8억5277만원으로 확대됐다. 국토부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는 지난해 12월 39억8000만원으로, 2017년 5월(19억4500만원)보다 20억3500만원(104.6%) 올랐다.
지방도 집값이 상당히 뛰었다. 같은 기간 울산 남구 신정동 ‘문수로2차 아이파크 1단지’는 5억7800만원에서11억3500만원으로 올랐고, 대전 유성구 상대동에 위치한 ‘트리풀시티 5단지’전용 84㎡는 4억900만원에서 7억1000만원으로 상승했다. 광주 북구 신용동 일원에 공급한 ‘광주첨단2지구호반베르디움1단지’ 전용 84㎡는 2017년 5월 4억2000만원에서 지난해 12월 7억3750만원으로 75.6% 올랐다.
- 文대통령의 자부심..."경제력·군사력·외교력·문화역량 세계 TOP 10 국가"
- 집값 안정 기대감 높아지는데…양극화 우려는 '여전'
- 지역별 양극화 '극심'… 서울 집 1채로 경북 6.6채 산다
- 아파트 매매·전세시장 양극화 극심…지방 중심으로 심화
- [데스크칼럼] 청년이 대선판의 소모품이어선 곤란하다
- 현대차그룹, 전기차 주행거리 500㎞ 시대 연다
- '코로나19'로 폐업한 자영업자, 임대차계약 중도해지 가능
- 위례 민간임대아파트 '고분양가 논란'에 입주민 반발
- 전국 아파트값 하락지역 확산…하남·의정부도 꺾였다
- [내집 마련 캘린더] 집값 고공행진 속 '청약일정' 체크 필수
-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1위는 어디?
고정빈 기자
viz3305@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