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조선업 수주 실적 1744만CGT
2013년(1845만CGT) 이래 8년 만에 최대
전세계 발주량 중 국내 수주비중 37.1%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지난해 국내 조선업계가 8년 만에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전체 수주량 중 고부가가치인 고부가·친환경 선박 수주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조선업 수주 실적이 1744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집계되며 2013년(1845만CGT) 이래 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2020년(823만CGT) 대비 112% 늘어난 규모이자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인 2019년(958만CGT) 대비 85% 증가한 수준이다. 산업부는 국내 조선업이 침체기를 벗어나 재도약 국면에 들어섰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전세계 발주량(4696만CGT) 중 국내 수주비중은 37.1%로 집계됐다. 국내 수주 비중은 2019년 31.2%, 2020년 34.1% 등으로 매년 커지는 추세다.
실적 1등 공신은 고부가가치 선박과 친환경 선박으로, 전체 수주량 중 고부가가치 선박(1252만CGT) 비중은 72%, 친환경 선박(188만CGT) 비중은 62%를 차지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전세계 발주량(1940만CGT, 302척 규모) 중 65%에 해당하는 1252만CGT(191척)를 수주하며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실적을 선종별로 나눠 보면 최근 선가가 상승 중인 대형 LNG운반선(174㎦ 이상)은 전 세계 발주량의 89.3%,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은 88%에 달했다.
해운운임 상승으로 발주량이 크게 늘어난 대형 컨테이너선(1.2만TEU 이상) 수주량은 47.6%였다. 친환경 선박 역시 전 세계 발주량(1709만CGT)의 64% 가량을 수주하며 전 세계 수주량 1위를 달성했다.
전 세계 친환경 선박 발주량 중 국내 수주 비중은 2019년 57.4%, 2020년 62.2%, 지난해 63.6%로 매년 증가 추세다.
연료별로 보면 우리나라 전체 친환경 선박 수주량 중 82.4%가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선박이었다. 액화석유가스(LPG) 추진 선박은 11.6%, 메탄올 추진 선박은 4.5% 였다.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현대 3사는 목표수주액(149억달러)을 53% 초과한 228억달러의 수주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도 122억달러와 108억달러의 수주 실적을 올리며 각각 목표치보다 34%와 40%를 초과 달성했다.
- 한화시스템, 미래 국방 클라우드 시장 노린다
- 가성비+고성능 카메라 장착…삼성전자 새해 첫 갤럭시 시리즈 공개
- 정은보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필요한 시기에 조사하겠다"
- 정부 "방역패스 제동 즉시항고"…자영업자 "우리도 소송한다"
- 반도체 수급난에도… 국내 수입차 '최다판매' 기록
- 하나銀, '1880억 횡령'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펀드 판매 중단
- 신한은행, 비대면 ‘땡겨요 사업자 대출’ 출시
- [CES 2022] 현대重 정기선 "조선업 넘어 해양 모빌리티 기업으로 도약"
- 우리은행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하반기 CBDC 유통 테스트 실시
- 고승범·정은보 새해 첫 회동…"가계부채 리스크관리 공조"
- 새해 적격대출 '하늘의 별따기'… 은행들 총량규제 어길까 '노심초사'
- 역대급 실적에 국민.신한.하나 300% 성과급 '잭팟'… '이자 장사' 지적도
- K조선 연초부터 수주랠리...지난해 활황과 비슷한 흐름
- 21년째 표류하는 대우조선 매각...빚더미가 최대 장애
- 본업서 대규모 적자 낸 조선3사, 올해 반전 가능성은?
- 삼성중공업도 '힘찬' 뱃고동… K-조선, '수주잭팟' 이어간다
- 삼성중공업, 'LNG 연료추진' 컨테이너선 4척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