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 노조는 24일 '차기 중앙회장 선출과 관련한 노동조합의 입장과 요구'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저축은행중앙회 노조는 24일 '차기 중앙회장 선출과 관련한 노동조합의 입장과 요구'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저축은행중앙회 노조가 현재 선거 공고 중인 저축은행중앙회장 선거와 관련해 "민·관 출신 여부를 떠나 회원사의 양극화 해소, 예보료 인하 등 과도한 규제로 지적되는 사항에 대해 분명한 성과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24일 '차기 중앙회장 선출과 관련한 노동조합의 입장과 요구'라는 제목의 성명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저축은행중앙회장 선거는 내달 17일 예정돼 있다. 

현재 차기 중앙회장직에 출사표를 던진 후보는 민간 출신의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와 관 출신의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으로 민·관 대결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두 후보는 모두 예보료 인하와 양극화 해소 등을 해결하겠다고 공약했다. 

노조는 이번 선거에서 공정성 문제, 노사갈등 여지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노조는 "차기 중앙회장 선거와 관련해 공식적인 선거공고 이전부터 언론을 통해 확인되고 있는 일부 회장후보 예정자들의 난무하는 일방적 공약 등이 사전 선거운동에 해당될 소지가 많다"며 "이로 인한 공정성 문제와 경쟁과열에 따른 피로도 가중, 일부 노사갈등 여지의 문제까지 발생되고 있는 것에 심각한 우려와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또 어느 후보자도 저축은행중앙회의 공익적 역할과 거래자 보호 기능 강화 역할 등에 대해서 주요 공약을 제시하지 않는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중앙회의 모호한 정체성을 바로잡아야 한다"며 "저축은행중앙회의 기능과 역할을 전면적으로 재정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노조는 "서민금융 확대, 거래자 보호, 신용 질서 확립 등 (저축은행중앙회의) 제정 취지에 따라 소비자 보호와 국민 신뢰 확보를 위한 공공적 기능을 실질적으로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재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타 금융협회와 달리 금융투자협회와 함께 법적기구로 설립됐다. 각각 투자자 보호와 거래자 보호 기능을 맡고 있으며, 특히 예금자 보호성격의 지급준비예탁금 수입·관리기능과 자율규제 기능까지 법령에 근거해 업무를 수행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