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대만기업의 독일 반도체 기업 인수를 반대하고 보조금 지급을 통한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사진=픽사베이
독일이 대만기업의 독일 반도체 기업 인수를 반대하고 보조금 지급을 통한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반도체 민족주의가 심화하고 있다. 독일이 대만의 자국 반도체 기업 인수를 거부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긴장이  고조됐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독일정부는 대만 반도체기업 글로벌웨이퍼스의 독일 반도체기업 실트로닉 인수를 결렬시켰다. 글로벌웨이퍼스는 44억유로(6조원)가량의 인수 계약을 제안했으나 독일 경제기후부가 인수계약을 승인하지 않아 무산됐다.

독일은 투자점검을 위한 모든 단계를 완결짓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중국 경쟁당국이 인수계약 승인결정을 늦게 내린 탓에 인수 계약 내용을 모두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업계는 독일이 반도체 산업 보호와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실트로닉이  팔려나가는 것에 반대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과 연계돼 기술력 유출도 우려될 뿐만 아니라 유럽 내 반도체 자급률을 높일 필요성도 커졌기 때문이다.

실트로닉이 기술력을 내세우고 있으나 경쟁사들보다 높은 공급가격으로 시장 경쟁력이 약하다는 지적이지만 독일정부는 보조금 지급으로 보완할 계획이다.

독일은 자국 반도체기업에 총 100억유로(약 13조60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EU도 유럽의 반도체 생산량을 2030년까지 2배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계속 반도체 기술 확보에 실패하면서 국내 기업에도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기술력 유출에 대한 기업의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