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금융, 지난해 당기순익 1조3832억원... 전년比 49.4%↑
보험 김용범, 증권 최희문 영입... 성과보상 더하자 성장세 '쑥'

사진=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
사진=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의 인재중심·성과보상 오너십이 적중했다. 주요 계열회사의 실적이 견조하게 증가해 지난해 1조원이 넘는 당기순익을 기록했다.

메리츠금융그룹은 지난해 전년보다 31.2% 늘어난 1조 8006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당기순익은 전년보다 49.49% 증가한 1조3832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이다.

메리츠금융의 호실적에는 그룹의 핵심축인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 약진이 주효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전년보다 53.1% 늘어난 6609억원의 당기순익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도 전년대비 49.3% 증가한 9076억원을 기록했다.

메리츠증권의 경우 지난해 영업이익으로 전년 보다 14.61% 성장한 9489억원, 당기순이익은 38.54% 늘어난 7829억원을 거뒀다. 세전이익도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이 넘어섰으며 자기자본이익률은 15.5%를 기록했다.

이 같은 호실적에는 조 회장의 인재중심·성과보상 오너십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조 회장은 한진가(家)에서 금융 분야를 물려받았고, 회사의 전권을 전문경영인에게 맡겼다.

전문경영인의 구체적인 경영활동에 간섭하지 않고 최대한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식을 취했다. 여기에 성과만큼 보상하는 문화를 만들어 대표부터 직원에게 적용했다.

조 회장의 안목은 김용범 메리츠화재 부회장과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 영입에서 빛을 발했다. 두 전문경영인은 보험사와 증권사를 업계에서 괄목할만한 수준으로 성장시켰다.

조 회장의 신임 속에 김 부회장은 대대적인 체질개선에 들어갔고, '본부-지역단-점포' 3단계 영업관리 조직을 본사-점포로 직결되는 구조로 개편했다. 본부와 지역단을 없애 구조를 슬림화했다.

절감한 영업비용은 상품경쟁력과 수수료 재원으로 활용했다. 돈 안 되는 자동차보험 판매는 줄이고 돈 되는 보장성 인보험 판매에 집중했다. 이 결과 매년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최 부회장도 조 회장의 전폭적 지지 속에 회사를 성장시켰다. 최 부회장은 메리츠증권의 실적을 높이기 위해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를 주요 수익모델로 발굴했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대부분 금융회사가 부동산 PF에서 손을 놓을 때, 최 부회장은 오히려 손을 대 메리츠증권의 주요 수익원으로 만들었다. 이 결과 2020년 4월 종금 라이선스가 만료될 때까지 종금형수신상품(CMA) 등을 통해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했고, 건설사를 상대로 공여하는 전략으로 높은 수익을 거뒀다.

2014년 종금 라이선스를 활용한 부동산 PF 주선금액은 5조원을 넘어섰고, 같은해 순익이 1477억원을 기록해 창사 이후 처음으로 순익 1000억원 시대를 열었다. 

조 회장의 성과주의 경영철학은 메리츠금융이 성장할 수 있게 한 발판이다.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평균 직원급여는 1억187만원으로, 삼성화재에 이어 업계 2위다. 김용범 부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19억4400만원으로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 원종규 코리안리 사장에 이어 3번째로 높다.

메리츠증권의 지난해 평균 직원급여는 2억492만원으로 10대 증권사 중 가장 높았다. 최 부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28억8000만원으로 증권사 CEO 중 5번째로 많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조 회장은 전문경영인에게 경영의 전권을 맡기고, 본인은 지주를 총괄을 하고 있다"며 "인재를 중요시 하고 성과를 중심에 놓은 경영방식이 메리츠금융의 성장을 만든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