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3배, 연트럴파크 맞먹는 규모
휴식시설·보행로 등 녹지생태도심 조성

110년 만에 경복궁 옆 송현동 부지가 녹지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사진=서울시 제공
110년 만에 경복궁 옆 송현동 부지가 녹지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울 도심 한복판에 위치해 110년 넘게 높은 담장에 둘러싸였던 송현동 부지가 녹지광장으로 돌아온다.

29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송현동 부지 현장 기자간담회에서 “송현동 부지를 쉼과 문화가 있는 열린광장으로 시민에게 돌려주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송현동 부지 개방으로 서울도심에 서울광장(1만3207㎡)의 3배, 연트럴파크(3만4200㎡)와 비슷한 규모의 녹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청와대 개방과 광화문광장 개장으로 북촌 일대가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송현동 부지를 ‘쉼과 문화가 있는 열린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인위적인 시설을 설치하기보다는 서울광장처럼 넓은 녹지광장에 최소한 시설물만 배치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예정이다.

송현동 녹지광장에는 광화문~북촌~청와대로 이어지는 보행로를 만들어 접근성을 높이고 차량 통행이 많은 율곡로와 감고당길 대신 이용 가능한 녹지보행로도 만들어 걷고 싶은 도심 보행길을 만들 예정이다. 또 그늘막과 벤치 등 도심에 부족한 휴게시설을 곳곳에 배치한다.

오 시장은 “110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올 송현동 부지가 녹지생태도심을 대표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보존과 규제의 그늘에 가려진 서울도심이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재창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