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 안전운임제 확대 요구
정부 파업 불법행위 시 강경 대응

화물연대가 7일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인 가운데 안전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화물연대 사이트 캡처
화물연대가 7일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인 가운데 안전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화물연대 사이트 캡처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7일 무기한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

글로벌 물류 공급난으로 소비자물가가 급상승한 가운데 물류난까지 가중될 우려가 커진다. 정부는 파업에 강경대응할 방침이다.

화물연대는 6일 화물자동차 안전 운임제 확대와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7일부터 무기한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 전국 화물노동자 42만명 중 화물연대 소속 2만5000여명과 비조합원 수백여명이 파업에 참여할 전망이다. 

화물연대 가입자 중 컨테이너 화물차 비중이 높아 시멘트와 주류업계의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화물연대 파업으로 시멘트 업계는 하루 평균 출하량이 80%이상 급감해 110억원의 매출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소상공인들도 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하이트진로 공장 집회로 소주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하이트진로 화물운송 위탁사인 수양물류 소속 화물차주들이 지난 2일부터 하이트진로 이천, 청주공장 입구를 막고 집회 중이다. 차주들은 운임비 30% 인상을 요구 중이다. 이로 인해 이천, 청주공장의 출고 물량이 절반이상 떨어졌다.

재계에서도 화물연대의 파업에 우려를 표한다.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 6단체는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비 인상의 삼중고를 겪는 중”이라며 “수출물품의 운송 차질은 납기지연으로 해외 바이어 계약위반의 원인이 돼 일차적인 손해배상 외에 기업들의 대외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국가 경제를 고려한 대승적 차원에서 운송거부를 철회해달라”고 촉구했다.

화물연대 측은 안전운임제를 도입해 최소한의 운임을 보장해줄 것을 요구한다. 유가가 급격히 치솟으면서 연료비 부담이 커지고 화물노동자들의 생계를 위협받는다는 주장이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경유의 전국 평균가격은 지난 3일 기준 ℓ당 201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이상 올랐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제가 연말에 종료되면  유가 상승 부담이 화물 노동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정부는 물류대란 피해를 막는데 주력하면서 불법행위에 단호히 대처한다는 입장이다.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물류 차질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한다. 부산항 등 주요 항만과 주요 물류 기지 등을 대상으로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했고 군·지자체·물류 단체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군 위탁 컨테이너 차량 등 관용차량을 투입한다. 

고용노동부는 물밑 접촉에 나섰다. 고용부 관계자는 “대화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들과 협의하고 있다”며 “총파업 경과를 지켜보면서 사태 악화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