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에 늘어나는 손실, 임직원·협력사 파업중단 촉구
노노 갈등 수면위, 대우조선 노조 "결단 내려야" 요청
"파업 핵심은 조선업 저임금 문제, 정부 개입 필요해"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협력사 노동자들의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생산 차질에 따른 매출 손실이 눈덩이처럼 늘어나자 중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임직원들과 협력사, 정규직 노조까지 한목소리를 냈다.
12일 대우조선해양 서울사무소 임직원들은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하청지회 불법파업 해결을 촉구하는 집회를 이어갔다. 장기간 경영난을 극복하고 이제 막 회복기에 접어든 시점이지만, 하청지회 파업이 다시 경영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다.
대우조선 사내 협력사도 전날 호소문을 통해 “불법파업은 사내협력사 협의회 고통을 넘어 이제는 각종 기자재를 납품하는 부산·경남 사외협력사까지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라며 “10만여명의 임직원 생존을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들은 “그동안 사내협력사 협의회 대표들은 대화와 협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며 “하지만 하정지회 측은 임금 30% 인상, 상여금 300% 지급, 노조 활동보장 등 9개의 단체교섭 요구안을 제시하고 협상 의지가 없는 태도로 일관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협의회 대표들은 불법행위를 감내하며 기다려 왔는데 협상에는 진전이 없는 상태로 경영상의 압박을 견디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이들의 행동에 답답함을 금할 수 없지만, 회사 정상화를 위해 한시라도 빨리 위기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파업 중단에 대한 목소리가 높지만 하청지회는 요지부동이다. 이에 최근 노조 간 갈등도 본격화한 모습이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도 하청지회에 이날까지 결단을 내릴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우조선 직원 8600명 가운데 약 4700명이 가입된 노조가 직접 파업 중단 목소리를 낸 것이다.
노조 일각에서는 사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금속노조 탈퇴까지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경찰도 업무방해 혐의로 하청지회 측 관계자 3명에 13일까지 재출석하라는 통보를 보냈다.
현재 하청지회는 옥포조선소 핵심 시설인 1독(DOCK·배를 만드는 작업장)를 무단 점거한 채 40일 이상 불법파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초대형 원유운반선에서 농성을 펼치는 상황이다. 정부가 개입해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어려운 시기에 하청지회 파업이 회사와 전체 근로자를 더욱 곤경으로 몰아넣는 모습”이라며 “이번 파업에 핵심은 전체 조선업 저임금 구조와 고질적인 인력난 문제로 정부가 나서 풀어가지 않는 이상 해결책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