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계약해지·인력난·불법파업 장기화 등 연이은 악재
박두선 사장 "24시간 비상체제 가동, 위기극복에 앞장"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담화문을 통해 최근 위기상황 극복과 재도약을 위한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전 직원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이번 비상경영 선포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비롯된 잇따른 선박 계약해지와 ▲원자재가격 상승 ▲대규모 인력 이탈에 따른 인력난 ▲옥포조선소 하청지회 불법파업 등 대내외 악재 속 위기 극복을 위한 조치다.
과거 대우조선해양은 해양 플랜트사업 등에서 역량 부족과 저유가 등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면서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국민과 산업은행 등 대주주 도움과 임직원들의 고통 분담 구조조정을 착실히 이행했다.
지난해부터 수주시장도 점차 살아나며 불황의 끝에서 벗어나는 듯했지만, 올해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원자재가격 급등세로 지난 1분기도 대규모 손실을 냈다. 부채비율도 547%까지 올랐다.
회사는 이 같은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환경에 재도약 발판 마련을 위해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받아 미래전략을 수립하는 중이었다. 하지만 하청지회의 도크 무단 점거로 진수 연기가 4주 차에 접어들었다.
공정 지연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회사의 존폐마저 흔들릴 위기에 처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21일 임원 워크숍을 열었다. 당시 임원 전체가 비상경영 동참을 결의했고, 생산현장 직장, 반장들로 구성된 현장책임자연합회 동참이 이어지는 등 본격적인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박두선 사장은 “수주 회복으로 오랫동안 짓눌러왔던 생산물량 부족 문제 해소와 경영정상화에 대한 희망을 품었지만, 하청지회 불법파업이 장기화하면서 기대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며 “사장을 포함 전 임원은 24시간 비상체제를 가동해 위기를 하루빨리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 몸값 높아진 LNG선...계약해지 후 선가 높여 재개약도
- 역대급 수주 조선 3사, 러시아발 LNG선 계약해지 '공포’에 전전긍긍
- '선박 점거' 대우조선 하청노조 집행부 체포영장… 사측 "1250억 피해"
- 하반기 후판협상 돌입… 철강·조선사 시작부터 '이견'
- 대우조선해양, LNG 처리 등 핵심기술 선봬
- 박두선 대우조선 사장 "불법파업… 10만명 생계 위협"
- 대우조선 임직원 "하청지회 불법 파업, 법질서 바로 잡아야"
- 대우조선 하청지회 파업, 노·노 갈등까지… 해결 실마리는?
- 국가의 '골칫거리' 대우조선해양… 쪼개기 매각이 대안?
- 매각·퇴진 압력에 놀란 대우조선 경영진 "분골쇄신으로 다시 태어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