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하청노조 파업, 8000억원 규모 추가 손실 떠안아
정부·산업은행, 추가 자금투입 우려에 '분리 매각' 검토
사업구조상 실효성 낮아, 업계 "구체적인 비전 세워야"

정부와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를 위해 분리 매각 등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정부와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를 위해 분리 매각 등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분리 매각’ 논의가 본격화된 모양새다.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은 경영정상화 이후 재매각에 나설 예정이었으나 대우조선은 최근 하청노조 파업으로 8000억원 규모의 손실을 떠안았다.

대우조선은 액화천연가스(LNG)선 수주 호조로 2~3년 치 일감을 확보했지만, 여전히 경영정상화까지 갈 길이 멀다.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된 대우조선의 분리 매각에 힘을 실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옥포조선소 내 하청노조 파업으로 부실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정부와 산은이 대우조선 회생을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만 10조원을 넘어섰다. 이런 상황에서 대우조선은 지난해 영업손실 1조7547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도 4701억원의 적자를 냈다. 여기에 51일간 지속된 하청노조 파업은 경영정상화의 발목을 잡았다. 정부와 산은은 경영정상화 방안을 두고 통매각은 물론 사업부문별 분할매각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산은은 과거 여러 차례 대우조선 매각을 추진했었다. 특히 2019년부터 국내 조선업계 1위인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부문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과 인수합병(M&A)을 추진했지만 이마저도 유럽연합(EU)의 반대로 무산됐다. 

정부는 합병 실패 후 대우조선 경영정상화를 우선순위에 뒀지만, 하청노조 파업으로 부실 문제가 크게 부각됐다. 적자가 이어지면서 부채비율도 546%까지 치솟았다. 추가 자금 투입 등 손실을 막기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우조선 지분 55.7%를 보유한 최대주주인 산은은 “대우조선에 대한 매각 컨설팅을 진행 중”이라며 “국제사회 정세 불확실성으로 컨설팅이 늦어졌지만, 조만간 결과가 나오는 대로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로서 국내 조선업계 2위인 대우조선 덩치를 줄여 분리 매각하는 방안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에 방산과 LNG(액화천연가스)선, 상선 부문 등의 개별 매각 추진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방산의 경우 기술 유출 우려로 해외 매각이 쉽지 않다. 정부는 대우조선 방산 부문 지분을 갖고 이후 국내 방산업체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분리 매각 추진의 경우 인수 후보 찾기가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산은은 민영화 추진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한편에서는 대우조선 사업 구조상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안팎에서는 원점에서 민영화를 포함한 대우조선 생존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산은이 추가 자금 투입에 선을 그었다. 민영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점은 분명해졌지만, 경기침체 현실화 등 복합위기에 새 주인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간 불황으로 인력난도 심화돼 인수 메리트가 떨어진 가운데 기업 구조조정 시행 등 경쟁력 강화는 물론 원활한 매각 추진을 위해 구체적인 비전 수립 등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