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선 발주 강세 속 '인력확보' 실적 변수로 떠올라
대형조선사간 깊어진 '갈등의 골'… 공정위 제소까지
기업 임금격차 확대 등 인력문제 갈등 심화 가능성↑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조선사 간 한정된 인력 풀 속에서 인재 빼가기 경쟁이 치열하다. 과거 장기불황 속 대규모 구조조정을 시행한 것이 발단이다. 최근 수주 호황세에 접어들면서 인력확보 문제가 수면 위로 떠 올랐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실적을 가를 변수는 인력확보로 꼽힌다. 인력 부족으로 선박 납기 지연 등의 우려가 커지면서다. 업종은 다르지만, SK와 LG도 전기차 배터리사업 관련 인력 문제로 오랜 기간 법적 다툼을 벌였다.
조선업계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조짐이다. 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케이조선·대한조선 등 4개 조선사는 핵심인력에 대한 부당 유인 행위로 업계 1위 현대중공업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다.
조선 4사는 유출된 인력이 고부가가치선 중 하나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급인력에 집중된 것으로 추정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선사들이 건조해야 할 LNG 물량은 넘치지만, 신규 채용이 부진해지자 공정위 제소까지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인력난이 심화하면서 조선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차세대 엔진 개발을 위해 대우조선해양이 삼성중공업, HSD엔진과 손잡은 것이 대표적 사례다. 한국조선해양을 견제하기 시작한 모양새다.
조선사 간 임금 격차로 비교적 대우가 좋은 한국조선해양으로 우수 인력이 집중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해진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강하게 결속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공정위 제소도 같은 맥락으로 인력 쏠림 방지를 위한 조치인 셈이다. 실제 한국조선해양은 연내 흑자전환이 가시화되면서 대규모 공채에 나섰다. 현대중공업그룹이라는 모기업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인재 확보에 우위를 점했다.
과거 조선업 침체기에 반도체와 건설사업 등으로 빠져나간 인력이 돌아오지 않는 것도 문제다. LNG 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 발주 초강세가 지속되면서 인력 쟁탈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법적 다툼이 빈발할 상황도 생길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조선해양 외 타 조선사의 경우 지속되는 적자로 큰 폭의 임금 인상이 쉽지않아 인력확보에 어려움이 따랐을 것”이라며 “회사 자존심에도 상처여서 감정싸움이 생기는 일이 잦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