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가입 등 2050년 전사 탄소중립 달성 목표
사업장 탄소 배출 제로화에 2030년까지 7조 투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15일 초저전력 반도체 제품 개발 등 혁신을 통한 기후위기 극복 동참과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내용을 담은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회사는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친환경 경영 패러다임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봤고, 인류가 직면한 환경위기 문제 해결을 위한 탄소중립 실천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실제 삼성전자는 반도체부터 스마트폰, TV, 가전까지 전자산업 전 영역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만큼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력(2021년 기준 25.8TWh)을 사용하는 기업이다.
회사는 신환경경영전략을 바탕으로 공정가스 저감을 비롯한 ▲폐전자제품 수거 및 재활용 ▲수자원 보존 ▲오염물질 최소화 등 환경경영 과제에 2030년까지 총 7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제외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제품 생산과 사업장 연료 사용에서 발생하는 직·간접(Scope1·2) 탄소 순 배출량을 2050년까지 제로화해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기후위기 극복과 순환경제 구축은 기업, 정부, 시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우리 시대 최대의 도전”이라며 “회사는 혁신기술과 제품을 통해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친환경 생태계 구축을 가속해 촉매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투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직접배출(Scope1)을 줄이기 위해 혁신기술을 적용한 탄소 배출 저감 시설에 집중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현재 배출되는 탄소는 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가스와 액화천연가스(LNG) 등이 원인이다.
회사는 공정가스 처리효율을 대폭 개선할 신기술 개발, 처리시설 라인 확충, LNG 보일러 사용 대신 폐열 활용을 확대하는 등 전기열원 도입도 검토 중이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부터 탄소중립을 우선 달성하고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등 전사는 2050년을 기본 목표로 조기 달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기준 1700여만톤의 탄소를 배출했다. 회사가 탄소중립을 달성할 경우 이와 같은 양의 탄소 배출을 줄인다는 의미다. 소나무 20억그루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같으며, 자동차 약 800만대 운행 중단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회사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RE100에도 가입했다. 5년 내 모든 해외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남아시아와 베트남은 올해, 중남미 2025년, 동남아·CIS·아프리카는 2027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동시에 자원순환 극대화에도 나선다. 소재 재활용 기술과 제품 적용을 연구하는 조직인 ‘순환경제연구소’를 설립했다. 연구소는 재활용 소재 개발, 폐기물 자원 추출 연구를 수행하며 제품의 모든 소재를 재활용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아울러 탄소중립 목표를 포함한 환경전략의 실행력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과제별 실행 로드맵을 마련했다. 대표이사 주관으로 지속가능경영협의회와 사외이사로 구성된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통해 이행 경과를 점검해 나갈 방침이다.
- '中 서열 3위' 리잔수, 바이든 흉내?… LG사이언스파크부터 찾는다
- 이재용 부회장, 추석 '산타'?...해외 직원 선물 2억원 쐈다
- 동유럽 관광 명소에 등장한 삼성 '더 테라스'… "희귀동물 영상 실시간 제공"
- 이재용 부회장, 멕시코 찍고 파나마로… 오는 15일 재판은 불출석
- 삼성이 활짝 연 하반기 채용 문… SK·현대차·LG·CJ 동참
- 삼성전자, 비스포크 냉장고… 독일서 극찬받은 이유는?
- [K-발전은 지금 ②] 석탄서 방향 전환… "친환경사업이 답"
- 삼성전자, 미국 케이블 1위 컴캐스트에 5G 통신장비 공급
- 삼성전자, 미국서 '테크 포럼' 재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