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행사 대응 프로세스 마련돼
교통통제·음주 금지·감시탑 설치 등
미연의 사고 방지·혼란 최소화 중점
외신 "한국 정부·지자체 노력 부족"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에서 빚어진 참사로 한국의 축제 문화와 외국 사례들이 비교 대상에 올랐다.
31일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 등은 핼러윈 데이를 중요한 날로 기념하고 있다. 이에 시나 당국이 직접 교통 통제에 나서는 등 사고 방지를 위한 사전프로세스를 가동 중이다.
실제 미국 뉴욕시는 현지시각으로 핼러윈 데이인 31일 오후 4시부터 8시까지 맨해튼·브루클린·브롱크스·퀸스 등의 메인거리 약 100곳을 일시 폐쇄했으며, 플로리다주는 축제 구간에 자동차 진입을 금지했다.
축제 중 도로에 차 진입을 전면 통제하는 등 교통사고 방지에 중점을 뒀다. 바이오정보학을 연구하는 마틴 에이머스 영국 노섬브리아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대형 이벤트에는 군중을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획과 훈련된 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본에서도 경시청과 지방자치단체는 다중이 몰리는 대형 이벤트 현장 곳곳에 보행전용도로와 바리게이트를 설치하고, 감시탑을 마련해 사고 예방활동을 펼친다.
음주자로 인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노상 음주를 금지하고 음식점과 편의점에서도 주류 판매를 제한하는 조치가 대표적이다. 일본 도쿄 시부야구 역시 핼러윈을 앞두고 사고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한 달간 진행했다.
홍콩은 경찰 자체 매뉴얼인 인파 관리 및 교통 체계를 발동해 대응한다. 경찰은 인파가 운집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서 시민 동선과 차량 도로 통제를 시행해 시민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있다.
주요 외신들은 이태원에서 벌어진 참사를 집중 조명하면서 “많은 인파를 통제하기 위해 더 많은 경찰을 보냈어야 했다”며 사고를 키운 원인을 정부와 지자체 노력 부족에 돌렸다.
줄리엣 카이엠 전 미국 국토안보부 차관보는 CNN에 출연해 “한국 정부는 이날 많은 인파가 모일 것을 예상했을 것”이라며 “실시간으로 상황을 모니터링해서 사람들을 대피시킬 책임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억눌렸던 군집이 얼마나 치명적인 결과로 나타났는지 말해준다”며 “활기찬 서울 이태원 지역의 핼러윈이 비극으로 변했다”고 보도했다.
AFP통신도 “사고 사망자 대부분이 10대와 20대”라며 “느슨한 안전기준과 안전관리 실패를 드러냈다. 이번 사고가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공공 안전기준 개선을 위해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세간의 관심을 환기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 이태원 참사 CPR로 지원한 배우 윤홍빈… "예방 가능했던 참사"
- 尹 대통령 부부, 서울광장 합동분향소 조문
- 배우 이지한 이태원 참사로 잃은 소속사, "늘 다정하고 따뜻한 친구"
- 이태원 참사에 세계 각국 정상 '깊은 애도' 잇따라
- "본능적으로 현장에"… 의료인 출신 안철수·신현영 의원, 새벽 이태원 방문
- "'세계음식 특화거리' 조성, 계획 단계부터 '안전'은 없었다"
- [메타센서] 둔촌주공 중도금 대출 12억 전망… 흥행 성공할까
- 광주은행, 마이데이터에 부동산 경매 정보 제공
- 봉화 광산 매몰 사고 엿새째… 생사 확인 아직
- 정부, '이태원 참사' 장례비 1500만원 지급…부상자 지원 총력
- ‘이태원 참사’ 사망자 154명 전원 신원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