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폭 상승 출발 후 약세로 돌아서는 등 장중 등락 거듭
30일 발표될 경제지표와 파월 의장 연설 기다리는 모습
중국 코로나 정책 완화 속에서도 시위 지속돼 투심 위축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연설에 대한 경계 심리, 중국 코로나19 확산 관련 시위 등이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풀이된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07포인트(0.01%) 오른 3만3852.53으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31포인트(0.16%) 내린 3957.63을 나스닥종합지수는 65.72포인트(0.59%) 떨어진 1만983.78로 장을 마쳤다. 사진=서울와이어 DB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연설에 대한 경계 심리, 중국 코로나19 확산 관련 시위 등이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풀이된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07포인트(0.01%) 오른 3만3852.53으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31포인트(0.16%) 내린 3957.63을 나스닥종합지수는 65.72포인트(0.59%) 떨어진 1만983.78로 장을 마쳤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유호석 기자]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연설에 대한 경계 심리, 중국 코로나19 확산 관련 시위 등이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풀이된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07포인트(0.01%) 오른 3만3852.53으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31포인트(0.16%) 내린 3957.63을 나스닥종합지수는 65.72포인트(0.59%) 떨어진 1만983.78로 장을 마쳤다.

뉴욕증시는 이날 소폭 상승 출발 후 약세로 돌아섰다가 장중 반등하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전반적으로는 오는 30일 발표될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 고용보고서와 3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 등의 경제지표와 더불어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진행 될 파월 의장의 연설을 기다리며 관망 양상이 짙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의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 정책 완화 기대가 부각됐으나, 정작 시위가 지속되면서 애플의 4분기 출하량 급감 가능성이 부각되는 등 위험자산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는 요인은 지속됐다.

주요 종목들은 대체로 부진했다. 애플(-2.11%), 아마존(-1.63%), 팔란티어 테크놀로지(1.26%), 엔비디아(-1.19%), 알파벳C(-0.90%), 알파벳C(-0.84%), 마이크로소프트(-0.59%), 코스트코(-0.37%), 월마트(-0.35%), 넷플릭스(-0.08%)가 줄줄이 내렸다.

엑슨모빌(0.66%), 메타(0.63%), 인텔(0.61%), AMD(0.27%), 쿠팡(0.21%)은 소폭 올랐다.

전기차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니콜라 코퍼레이션(1.73%), 리비안(0.73%)이 올랐고, 테슬라(-1.14%)와 루시드모터스(-0.91%)가 하락했다.

한편 이날 국제유가는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96달러(1.24%) 오른 배럴당 78.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중국 당국의 ‘노인 코로나19 백신 접종 강화에 관한 통지’를 통해 고령층에 대한 백신접종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것이 방역 기준 완화에 대한 기대를 불러왔다. 수요 정상화 기대에 투자심리가 완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